2025년 8월 31일 일요일

455. 워라밸

일과 삶, 균형이 무너질 때 우리는 무너진다”

한때는 ‘일이 곧 인생’이라는 가치관이

당연했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워라밸(Work-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을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로 꼽습니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워라밸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삶의 질과 심리적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심리학적으로 볼 때,

워라밸이 왜 그렇게 중요한 걸까요?

오늘은 이 주제를 깊이 있게 풀어보겠습니다.


워라밸은 심리적 회복탄력성을 높인다


심리학에서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스트레스나 실패 같은 부정적인 사건 이후에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심리적 힘을 의미합니다.

일과 삶의 균형이 무너진 상태에서는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쌓이고,

에너지를 충전할 시간과 공간이 부족해

회복탄력성이 급격히 약화됩니다.



반대로, 일 외에 충분한 휴식과 사적인 시간을 가지면

감정이 안정되고,

문제 해결 능력이 높아지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강화됩니다.

결국 워라밸은 지속 가능한 성장과

건강한 정신을 위한 핵심 토대가 됩니다.

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을 지키는 데 필수적이다



일에 몰입하는 것은 긍정적인 에너지를 낼 수 있지만,

일에만 몰두하는 상태가 지속되면

나의 존재 가치가 ‘성과’로만 평가되는 왜곡이 발생합니다.

결국, 일이 잘되지 않을 때 자아 가치감 전체가 흔들릴 위험이 커집니다.



워라밸이 잘 지켜질 때 우리는

‘나는 일 외에도 소중한 인간관계, 취미, 건강한 삶을 가진 존재’라는

다층적인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층적 정체성은

실패하거나 힘든 일이 생겼을 때

하나의 영역이 무너지더라도 전체 삶이 붕괴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심리적 버팀목이 됩니다.

스트레스 누적을 막고, 번아웃을 예방한다


번아웃(Burnout)은 장기간 과도한 스트레스와

에너지 고갈로 인한 정서적 탈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과 삶의 경계가 없고

항상 일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트레스 해소 기회가 줄어들고,

심리적 에너지가 고갈되며,

결국 깊은 번아웃에 빠지게 됩니다.



워라밸은 이 과정을 초기에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은 일대로 집중하되,

퇴근 후에는 삶을 위한 시간으로 채우는 것.

이 단순한 구분이 장기적으로는

정신 건강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을 높인다



심리학에서는 삶의 만족도(Life Satisfaction)를

삶의 전반적인 질과 행복감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봅니다.



연구에 따르면

일에만 몰두하는 사람보다

일과 여가, 인간관계, 자기 개발 등

다양한 영역을 고루 만족시키는 사람이

삶에 대해 훨씬 높은 만족도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워라밸은

단순한 ‘시간 관리’의 문제가 아니라,

‘삶을 얼마나 풍요롭고 입체적으로 살아가는가’에 대한 문제입니다.

삶이 다양한 요소로 채워질 때,

우리는 ‘일을 위한 삶’이 아니라

‘삶을 위한 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게 해준다


일에만 몰두하면

가족, 친구, 연인과의 관계가 소홀해지기 쉽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정서적 거리감이 생기고, 관계의 균열이 생깁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입니다.



건강한 인간관계는

스트레스 해소

정서적 안정

행복감 증진

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워라밸을 통해

일 외의 시간에 소중한 사람들과 교류하고,

관계를 돌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은

장기적으로 심리적 안정감과 삶의 질을

유지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워라밸은 ‘사치’가 아니라 ‘필수’다

워라밸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은

나의 정신 건강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며,

삶을 다층적이고 풍요롭게 만드는 일입니다.

일에 대한 열정과 성취를 부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일 외의 삶을 충실히 살 때,

일에서도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5년 8월 30일 토요일

454. 라면의 환갑 날

라면의 환갑 날을 맞으며ᆢ

라면은
1963년 9월 15일 태어났습니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아 한국 사람들 모두가 힘들게 살아가던 1961년 어느날

삼양식품(주) 전중윤 사장은 남대문시장을 지나다

배고픈 사람들이 한 그릇에 5원하는 꿀꿀이죽을 사먹기 위해 길게 줄을 선 모습을 봅니다.

전 사장은
"저 사람들에게 싸고 배부른 음식을 먹게 할 방법은 없을까?" 고민 끝에

전 사장은 일본에서 라면을 제조하는기술을 들여옵니다.
하지만 외화가 없고 국교가 단절됐던 때라 라면을제조하는 시설을 들여오기는 하늘에 별따기 였습니다.

정부가 가진 달러를 민간이 원화로 사던 시절, 한 라인에 6만 달러인 라면 제조 시설을 수입하기엔 전 사장도 돈이 부족 했고 가난한 정부도 옹색하긴 마찬가지 였습니다.

궁하면 통한다고 전 사장은 당시 중앙정보부장이던  김종필(JP) 씨를찾아갑니다.

“국민들 배 곯리지 말자”는 전 사장의 호소에 당시 나는 새도 떨어트릴 정도의 세도를 가진 JP는 마침 농림부가 가지고 있던 10만 달러 중 5만 달러를 전 사장이 사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계기로 두 사람의 우정은 이후 오랜 세월 이어집니다.

신용장을 열고 전 사장이 일본으로 갔지만 일본의 반응은 냉담 했답니다.

일본도 어렵던 시절, 라면 제조시설을 국교도 없는 한국에 선뜻 팔려고 나서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여러 곳을 수소문하다 전 사장은 묘조(明星) 식품의 오쿠이(奧井) 사장을 만나,
한국의 식량 사정을 이야기하며 도와달라고 청합니다.

다음 날 대답을 들으러 다시 찾은전사장에게 오쿠이 사장은 이렇게말합니다.

“당신 이야기를 듣고 많이 생각했다. 나는 한국에 가본 일이 없고 아직 국교 정상화도 안 됐지만 한국전쟁이 일본 경제를 재건해 준 셈이다.

당신들은 불행했지만 우리는 한국전쟁덕분에 살아가고 있다.

내가 민간 베이스로 기술을무상으로 제공하고시설도 싼 가격으로 제공하겠다.“

오쿠이 사장은 한 라인에 6만 달러라던 라면 제조시설을 두 라인에 2만 5.000 달러로 즉석에서 발주를 해 주었다고합니다

면과 수프의 배합에 관한 일화도있습니다.

전 사장은 일본 현지에서 라면제작의 전 공정을배우지만 일본인 기술자들은 끝내 면과 수프의 배합 비율은 가르쳐주지 않더랍니다.

전 사장이 끝내 비율을 못 배우고 서울로 돌아오는 날, 오쿠이 사장은 비서실장을 시켜 공항에서 봉투 하나를 전 사장에게 전해줍니다.

비행기에서 뜯어보라는 그 봉투 안에는 기술자들이 펄펄 뛰며 비밀로 했던 면과 수프의 배합비율이 적혀 있었습니다.

가난하고 굶주렸던 국민들의 배를 채워줬던 라면은 이렇게 눈물겨운 사연을 안고 1963년 9월 15일 삼양 ‘치킨라면’ 이란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

당시 가격이 10원, 식당에서 김치찌개나 된장찌개가 30원이고, 커피 한 잔이 35원이던 시절이니저렴한 가격이었음이 분명합니다. 

이제 라면 수출액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증가했는데, 1월부터 7월까지 집계된 라면 수출액이 5억 2천202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7.7% 증가했습니다.

또 지난해 연간 수출액은 7억 6천543만 달러로 역대 최대였는데, 이 속도라면 올해 10억 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453. 청어

청 어
(청/년처럼 사는 어/르신)

나이 80·90·100세 되어도 청년처럼 사는 어르신을 줄여서 ‘청어’라고 한다.

청어는 나도 모르게 존경심 우러나는 어르신으로, 긍정적 열정과 미래의 호기심이 가득하다.

‘청어 DNA’를 심고 가꿔야 내 마음 속 청어 떼가 뛰논다고 생각한다.

'건강 백세'라는 말이
실감나는 세상이다.

💠여러분이 잘 아는
철학자 김형석 교수님은
올해 105세 이신데,
열심히 강의하고
신문 칼럼을 쓰신다.

요즘도 서울 뿐만 아니라
지방까지 강의가 있어
KTX를 타러 서울역에
자주 가신다고 한다.

100세가 넘으신 분이
서울에서 저녁 강의를 하고, 곧바로 열차로, 포항에 가서 잠깐 주무시고, 조찬 강의를 하신다니 저절로 감탄사가 나온다.

💠청어처럼 사는 또 다른
사람은
이길여 가천대학교 총장이다.

지난해 말에 ‘길을 묻다.’ 라는 자전적 책을 내셨는데 큰 화제가 되었었다.

시골 소녀가 큰 뜻을 품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가고, 미국 유학 후, 귀국해
길병원을 열어 의술을 펼친 이야기부터 가천대를 명문대로 키우기까지
진솔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 총장의 인생철학은 ‘박애’다.

어려운 사람을 도와
따뜻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꾸준히 박애를 실천하려면
먼저 스스로 역량을 키워야 한다.

이 총장은 남들보다
수십 배 더 노력하며
역량과 성과를 쌓아온 분이다.
도전과 열정의 화신이다.

이길녀 총장은 젊은이와 대화를 좋아한다.
대화 내용도 70% 이상이 미래에 관한 것이라고 한다.

인공지능(AI) 시대에
새로운 인재 교육의 방향,
새롭게 펼쳐지는
바이오산업과 우주산업,
대학의 미래상 등을 말씀하시고
끝없이 질문한단다.

그녀의 나이는 올해 93세이다.

나이가 80~90세가 되어도
청년처럼 사는 분이 늘어난다.

🐟넓고 푸른 바다를
마음껏 헤엄치는
등푸른 생선 청어(靑魚)가 저절로 떠 오른다.

청년처럼 사시는
어르신 ‘청어’를 보면
나도 모르게 존경심이
우러나오고 힘이 솟는다.

현존하는 사람 중 어떤 분이 청어일까 꼽아봤다.

💠한국의 ‘탑건’이라는 영화 ‘빨간 마후라’의 주인공이며 보수당 원로 신영균 선생님(96세),

💠국민 건강을 위해
세로토닌 문화를 이끄시는
이시형 박사님(91세),

💠활기찬 목소리로
가요무대를 진행하시는
김동건 아나운서님(85세),

💠봉사 활동을 활발히 하시며
맑은 목소리로 노래하는
김상희 가수님(82세),

💠올해도 현역 최고령으로
연예인 골프대회에 참가한
국민배우 이순재님(90세) 등이 모두 청어로 부를 만한 분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이런 생각으로
자세히 살펴봤더니
몇 가지가 나왔다.

🔺️첫째,
늘 미래에 대한
호기심이 강하다.
🔺️둘째,
공익적이고 이타심이 크다.
🔺️셋째,
긍정적이고 잘 웃는다.

나이 들었다고
과거 전성기 추억을 먹고 살면
청어가 아니다.

자기 혼자 잘 되겠다고
열심히 살아도
청어가 될 수 없다.

긍정적 열정이 식으면
더 이상 청어가 아니다.

나이 들어 갑자기
청바지를 입는다고
청어가 되는 것이 아니다.

💠청어가 되려면  
젊은 시절부터 몸과 마음에
청어 DNA를 심고 가꿔야 한다.

이게 내가 찾아낸
‘청어로 사는 방법’이다.

매력적인 시니어가
많은 사회가 좋은 사회다.

나이가 들어서도
건강한 삶을 유지하며
세상을 위해 활기차게
활동하는 분이 많으면
이 자체가 젊은이들에게는
희망의 메시지가 아니겠는가?

나도 청어로 살고 싶다.

끝없이 다가오는
미래라는 바다를 향해
힘차게 헤엄치고 싶다.

요즘 내 마음 속에는
청어떼가 뛰놀고 있다.^^♡♡
(herring
(Older/Older/Living Like a Young Person)

Even at the age of 80, 90, and 100, the elderly who live like a young man are abbreviated as 'herring'.

Herring is an old man who is unknowingly respectful, full of positive passion and future curiosity.

I think I have to plant and nurture 'herring DNA' so that the herring swarm in my mind runs around.

"Healthy 100 years old"
It's a realistic world.

💠 The things you know well
Professor Kim Hyungseok, a philosopher
He is 105 years old this year,
I'll give you a lot of lectures
He writes a newspaper column.

These days, not only Seoul
There's a lecture all the way to the countryside
At Seoul Station to ride KTX
They say they go there often.

If you're over 100 years old
After giving an evening lecture in Seoul, I immediately took the train, went to Pohang to sleep for a while, and gave a breakfast lecture.

💠 Another one who lives like a herring
People
Lee Gil-yeo is the president of Gachon University.

At the end of last year, he published an autobiographical book called Ask for a Way, which became a big topic.

The country girl had a big meaning,
Go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study in the U.S., and come back to Korea
From the story of opening Gil Hospital and practicing medicine to raising Gachon University as a prestigious university
It contains an honest story.

President Lee's life philosophy is "fidelity."

Help people in need
It's about creating a warm world.

To continue to practice philanthropy
First, you have to develop your own capabilities.

President Lee is better than others
with dozens of times more effort
He has built up capabilities and achievements.
It is the embodiment of challenge and passion.

President Lee Gil-nyeo likes to talk to young people.
More than 70% of the conversation is also about the futur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direction of new talent education,
It's going to be new
The bio and space industries,
Tell us about the future of college
I ask endless questions.

She is 93 years old this year.

Even when you're 80 to 90 years old
More people live like young people.

🐟The wide blue sea
swimming to one's heart's content
The blue-backed fish herring comes to mind by itself.

living like a young man
If you look at the old man's "Herring,"
I don't even realize that I'm respectful
It comes out and gives me strength.

I picked out which of the existing people was a herring.

💠 Shin Young-kyun (96 years old)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Korean movie 'Top Gun' and a senior member of the Conservative Party,

💠 For the health of the people
leading the serotonin culture
Dr. Lee Si-hyung (91),

💠 In a lively voice
He's the host of the K-pop stage
Announcer Kim Dong-gun (85 years old),

💠 You are actively engaged in volunteer activities
Singing in a clear voice
Kim Sang-hee (82 years old),

💠 He's the oldest active player this year
He participated in a celebrity golf competition
Lee Soon-jae (90 years old) and other national actors are all worthy of herring.

㊙️What do they have in common?
That's what I thought
I took a closer look at it
Some things came out.

🔺️First,
I'm always thinking about the future
have a strong curiosity.
🔺️ Second,
It is public interest and selfless.
🔺️Third,
He is positive and smiles well.

I'm getting older
If you live off the memories of your past heyday
It's not a herring.

He said he'd do well on his own
Even if you work hard
It can't be a herring.

When the positive passion

cools down
It's no longer a herring.

I'm getting older all of a sudden
I'm going to wear jeans
It doesn't become a herring.

💠 To become a herring  
Since I was young, in my body and mind
Herring DNA needs to be planted and grown.

This is what I found
It's 'how to live with herring'.

Attractive seniors
Many societies are good societies.

Even when I get older
and maintain a healthy life
For the world, cheerfully
If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are active
It's very important for young people
Isn't it a message of hope?

I want to live in herring, too.

approaching endlessly
To the sea of the future
I want to swim vigorously.

These days, in my heart
A herring is running around. ^^♡♡)

452. 다시 만나고 싶은 사람

사람들은 무수한 인연을 맺고 살아간다.
그 인연속에 고운 사랑도 엮어가지만 그 인연속에 미움도 엮어지는게 있다.
고운 사람이 있는 반면,
미운 사람도 있고
반기고 싶은 사람이 있는 반면,
외면하고 싶은 사람도 있다.
고운 인연도 있지만
피하고 싶은 악연도 있다.
우린 사람을 만날 때 반가운 사람일 때는
행복함이 충족해 온다.
그러나 어떤 사람을 만날 때는 그다지 반갑지 않아 무료함이 몰려온다

나에게  기쁨을 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나에게 괴로움을 주는 사람도 있다
과연 나는 타인에게 어떤 사람으로 보일까?
과연 나는 남들에게 어떤 인상을 심어 주었는가?
한번 만나면 인간미가 넘치는 사람이 되어야 겠다. 한번 만나고 난 후
다시 만나고 싶은 사람이 되어야겠다.
진솔하고 정겨운 마음으로
사람을 대한다면
나는 분명 좋은 사람으로 인정을 받을 것이다.
이런 사람이야 말로
다시 만나고 싶은
사람이 아닐까?
이런 사람이야 말로 다시 생각나게 하는
사람이 아닐까?

언제든 만나도
반가운 사람으로
고마운 사람으로
정겨운 사람으로
언제든 만나고 헤어져도 다시 만나고 싶은
그런 사람이 되도록 합시다.
향수를 뿌리지 않아도
촛불을 켜지 않아도
넉넉한 마음과 찐한
과일향 풍기는 그런
좋은 인연 만들어 가는 자세로 살아 간다면,
이 세상은 참으로
아름답고 행복한 세상이 되겠지요.
(People live in countless relationships.
In that relationship, beautiful love is woven, but hate is also woven into that relationship.
While there are beautiful people,
There are people who hate you
While there are people who want to welcome you,
Some people want to turn a blind eye.
There's a good relationship
There is also a bad relationship that I want to avoid.
When we're happy to meet people
Happiness is fulfilling.
But when you meet someone, you're not very happy, so there's a rush of boredom

If there is someone who gives me joy
There are people who give me pain
What kind of person do I look like to others?
What kind of impression did I make on others?
I should be a person full of humanity once I meet him. After meeting him once
I should be the person I want to meet again.
With an honest and friendly heart
When it comes to people
I'm sure I'll be recognized as a good person.
He's this kind of person
I want to meet you again
Isn't it a person?
This is the kind of person that reminds me of it
Isn't it a person?

Whenever we meet
as a welcome person
as a grateful person
as a friendly person
I want to meet you whenever I want to meet you again even if I break up

Let's be that kind of person.
Even if I don't wear perfume
Even if you don't light a candle
a generous heart and a strong heart
It smells like fruit
If you live in a position of making good relationships,
This world is really
It will be a beautiful and happy world.)

2025년 8월 28일 목요일

451. 신과 행

♣️신(辛)과 행(幸)♣️

우리네 인생살이가 고추
보다 맵다는 옛말이
있듯 좌절하게 될 때면
곧잘 매운 맛을 봤다고
합니다.

그런데 매울 신(辛)에
한 일(一) 을 더 하면 바로
행복을 뜻하는 다행 행(幸)
이라는 글자가 됩니다.

좌절의 순간에도 무언가
하나를 더하면 행복(幸福)
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닐까요?

그 하나가 무엇인지는
누구도 모르지만 인생의
매운 맛(辛)을 행복으로
바꾸는 열쇠는 분명히
있다고 합니다.

행복을 위한 매운맛을
기꺼이 견뎌내는  오늘
맞이 하시기를
소원합니다~(음표)(음표)(오케이)
((Sun) August 28th morning letter (Sun)

♣️Shin (辛) and Row (幸)♣️

Our life is like chili peppers
There's an old saying that it's more spicy
When you get frustrated
He said he had a spicy taste
I am doing.

But in the spicy scene (辛)
As soon as you do one more thing
Fortunately, it means happiness (幸)
It becomes the word.

Even in the moment of frustration
If you add one, you'll be happy (幸福)
The meaning of being able to do it
I don't think so?

What that one thing is
No one knows, but
Spicy taste (辛) with happiness
The key to change is definitely
I heard there is.

Spicy flavor for happiness
[  ]
I'm willing to endure today
I hope you'll welcome me
I wish you~(note)(note)(note)(OK))

(해)8월28일 아침편지(해)

♣️신(辛)과 행(幸)♣️

우리네 인생살이가 고추
보다 맵다는 옛말이
있듯 좌절하게 될 때면
곧잘 매운 맛을 봤다고
합니다.

그런데 매울 신(辛)에
한 일(一) 을 더 하면 바로
행복을 뜻하는 다행 행(幸)
이라는 글자가 됩니다.

좌절의 순간에도 무언가
하나를 더하면 행복(幸福)
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닐까요?

그 하나가 무엇인지는
누구도 모르지만 인생의
매운 맛(辛)을 행복으로
바꾸는 열쇠는 분명히
있다고 합니다.

행복을 위한 매운맛을
기꺼이 견뎌내는  오늘
맞이 하시기를
소원합니다~(음표)(음표)(오케이)
((Sun) August 28th morning letter (Sun)

♣️Shin (辛) and Row (幸)♣️

Our life is like chili peppers
There's an old saying that it's more spicy
When you get frustrated
He said he had a spicy taste
I am doing.

But in the spicy scene (辛)
As soon as you do one more thing
Fortunately, it means happiness (幸)
It becomes the word.

Even in the moment of frustration
If you add one, you'll be happy (幸福)
The meaning of being able to do it
I don't think so?

What that one thing is
No one knows, but
Spicy taste (辛) with happiness
The key to change is definitely
I heard there is.

Spicy flavor for happiness
I'm willing to endure today

I hope you'll welcome me
I wish you~(note)(note)(note)(OK))

2025년 8월 27일 수요일

450. 싸가지와 5상

싸가지'와 오상(五常)

"싸가지가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싸가지"란 무슨 뜻일까요?

1. 동대문은
인(仁)을 일으
키는 문이라 해서
흥인지문(興仁之門)이고,

2. 서대문은
의(義)를 두텁게 갈고 닦는 문이라 해서.
돈의문(敦義門)이고,

3. 남대문은
예(禮)를 숭상하는 문이라 해서
숭례문(崇禮門)이며,

4. 북문은
지(智)를 넓히는 문이라는 뜻으로
홍지문(弘智門)이라 합니다.

5. 중심에
가운데를 뜻하는 신(信)을 넣어
보신각(普信閣)을 세웠습니다.

한양 도성을
오상(五常)에 기초, 건립 하였던 것 입니다.

오상(五常)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으로
인간이 갖춰야 할
다섯가지 기본 덕목입니다.

인(仁)은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불쌍한 것을 보면 가엾게 여겨
정을 나누고자 하는 마음이고,

의(義)는 수오지심 (羞惡之心)으로
불의를 부끄러워 하고
악한 것은 미워하는 마음이며,

예(禮)는 사양지심 (辭讓之心)으로
자신을 낮추고 겸손해야 하며
남을 위해 사양하고
배려할 줄 아는 마음이고,

지(智)는 시비지심 (是非之心)으로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이고,

신(信)은 광명지심 (光名之心)으로
중심을 잡고 항상 가운데 바르게 위치해
밝은 빛을 냄으로써
믿음을 주는 마음 입니다.

보신각이 4대문 중심에서 종을 울리는 것은
인, 의, 예, 지,를 갖추어야
인간은 신뢰할 수 있다는 유교적인 철학입니다.

그리고
인. 의. 예. 지. 4가지가 없는 사람은
"사(四)가지 없는 놈"이라 했고,

이것이 변하여,
"싸가지 없는 놈"이 되었답니다.

신뢰와 믿음이 없는 인간관계는 정말
삭막하고 살벌한 것 같습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돌아보며
부족한 부분을 반성합니다.

늘 사가지(싸가지) 있는 사람으로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Waggy" and "Five 常"

There's a saying that goes, "There's no cheapness."

What do you mean by "wrapping"?

1. Dongdaemun is
cause humanity
The key is the door
It's Heunginjimun Gate,

2. Seodaemun is
Because it's a door that sharpens the righteousness.
It's 敦 Gate,

3. Namdaemun is
It's a door that honors courtesy
It's Sungnyemun Gate (崇 Gate),

4. The north gate is
It's a door that broadens the 智
It's called Hongjimun (弘智 Gate).

5. at the center of
Put the word "belief" in the middle
The 普 trust 閣 was established.

The capital city of Hanyang
It was built on the foundation of the Five 常.

Five 常

by virtue, righteousness, courtesy, 智, and trust
It's something that humans need to have
These are the five basic virtues.

Humanity is the 惻隱 of the heart,
I feel sorry for you when I see you pitiful
I want to share my feelings,

Righteousness is based on the 羞惡 of Suo Ojisim
ashamed of injustice
To be evil is to hate,

Ye means 辭讓
You have to lower yourself and be humble
in a person's favor
I know how to be considerate,

Ji (智) is a 是
I know what's right and what's wrong,

God is the heart of Gwangmyeong
Keep your balance and stay in the center
by shining a bright light
It's a heart that gives you faith.

Bosingak rings the bell at the center of the four gates
You need to have a person, a person, a person, a person, a person, a person
It's a Confucian philosophy that humans can be trusted.

And
If you don't have four things
He said, "You're a four-pronged man."


This changes,
He's become a "no cheap guy".

Without trust and trust, relationships are really
I think it's desolate and cutthroat.

"What kind of person am I?" Looking back
I reflect on my shortcomings.

I hope you live as a person who always has cheap things.)

450. 싸가지와 5상

싸가지'와 오상(五常)

"싸가지가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싸가지"란 무슨 뜻일까요?

1. 동대문은
인(仁)을 일으
키는 문이라 해서
흥인지문(興仁之門)이고,

2. 서대문은
의(義)를 두텁게 갈고 닦는 문이라 해서.
돈의문(敦義門)이고,

3. 남대문은
예(禮)를 숭상하는 문이라 해서
숭례문(崇禮門)이며,

4. 북문은
지(智)를 넓히는 문이라는 뜻으로
홍지문(弘智門)이라 합니다.

5. 중심에
가운데를 뜻하는 신(信)을 넣어
보신각(普信閣)을 세웠습니다.

한양 도성을
오상(五常)에 기초, 건립 하였던 것 입니다.

오상(五常)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으로
인간이 갖춰야 할
다섯가지 기본 덕목입니다.

인(仁)은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불쌍한 것을 보면 가엾게 여겨
정을 나누고자 하는 마음이고,

의(義)는 수오지심 (羞惡之心)으로
불의를 부끄러워 하고
악한 것은 미워하는 마음이며,

예(禮)는 사양지심 (辭讓之心)으로
자신을 낮추고 겸손해야 하며
남을 위해 사양하고
배려할 줄 아는 마음이고,

지(智)는 시비지심 (是非之心)으로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이고,

신(信)은 광명지심 (光名之心)으로
중심을 잡고 항상 가운데 바르게 위치해
밝은 빛을 냄으로써
믿음을 주는 마음 입니다.

보신각이 4대문 중심에서 종을 울리는 것은
인, 의, 예, 지,를 갖추어야
인간은 신뢰할 수 있다는 유교적인 철학입니다.

그리고
인. 의. 예. 지. 4가지가 없는 사람은
"사(四)가지 없는 놈"이라 했고,

이것이 변하여,
"싸가지 없는 놈"이 되었답니다.

신뢰와 믿음이 없는 인간관계는 정말
삭막하고 살벌한 것 같습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돌아보며
부족한 부분을 반성합니다.

늘 사가지(싸가지) 있는 사람으로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Waggy" and "Five 常"

There's a saying that goes, "There's no cheapness."

What do you mean by "wrapping"?

1. Dongdaemun is
cause humanity
The key is the door
It's Heunginjimun Gate,

2. Seodaemun is
Because it's a door that sharpens the righteousness.
It's 敦 Gate,

3. Namdaemun is
It's a door that honors courtesy
It's Sungnyemun Gate (崇 Gate),

4. The north gate is
It's a door that broadens the 智
It's called Hongjimun (弘智 Gate).

5. at the center of
Put the word "belief" in the middle
The 普 trust 閣 was established.

The capital city of Hanyang
It was built on the foundation of the Five 常.

Five 常

by virtue, righteousness, courtesy, 智, and trust
It's something that humans need to have
These are the five basic virtues.

Humanity is the 惻隱 of the heart,
I feel sorry for you when I see you pitiful
I want to share my feelings,

Righteousness is based on the 羞惡 of Suo Ojisim
ashamed of injustice
To be evil is to hate,

Ye means 辭讓
You have to lower yourself and be humble
in a person's favor
I know how to be considerate,

Ji (智) is a 是
I know what's right and what's wrong,

God is the heart of Gwangmyeong
Keep your balance and stay in the center
by shining a bright light
It's a heart that gives you faith.

Bosingak rings the bell at the center of the four gates
You need to have a person, a person, a person, a person, a person, a person
It's a Confucian philosophy that humans can be trusted.

And
If you don't have four things
He said, "You're a four-pronged man."


This changes,
He's become a "no cheap guy".

Without trust and trust, relationships are really
I think it's desolate and cutthroat.

"What kind of person am I?" Looking back
I reflect on my shortcomings.

I hope you live as a person who always has cheap things.)

449. 늦 8월의 아침

늦팔월의 아침 ◎
              / 우현 김영남

덥다고 너무 덥다고 저리 가라고 밀어 보내지 않아도머물고 떠날 때를 알고 있는 여름은 이미 이별을 준비하고 있다.

잠깐 머물다 금새 떠날 것을 알면서도 호들갑을 떨며 아우성을 치던 우리는 언제 그랬냐고 정색을 하며 가을을 반기겠지?

짧디 짧을 가을정취를 느끼기도 전에 그림자처럼 사라질 것을 모르지도 않으면서 마치 가을이 영원히 있어줄 것 처럼 칭찬하다가 언제 떠났는지도 모르고
어느샌가 입김 호호 불면서 또다시 추위를 나무라며 문지방 너머 목 길게 빼고 봄이 오기를 마냥 기다릴 거다.

그러면서 나이만 먹는다고 세월이 너무 빠르다고 투덜거려도 보고 용기없어 하지 못했던 것에 미련도 되씹어 보며 커다란 나이테 하나를 또 끙끙 둘러 메고 앉아 문밖 건너 진달래 붉은 향기 가슴에 밀려들면 혹 서러워 눈물 흘릴지도 모르겠다.

빨리 지나가기를 바라지나 말고 어여 오라고 손짓이나 말지
그냥 혼자 조용히 흐르는 세월.
오면 오는대로 가면 가는만큼 가만히 놓아두고 때를 즐기며 덥던 춥던 깃털처럼 가볍게 하루 또 하루를 즐겨 살아주면 그것이 행복이고 참살이가 아니련가?

망개열매를 따먹고 살아도 이승이 낫다는데 지금 살아 숨쉬고 머무는 여기 산천이 천국이고 낙원이 아니면 그 어드매가 무릉이고 도원인가?

창너머 수세미 꽃에 벌이 드나드는 늦 팔월의 아침이다.
(Late August morning ◎
              / Woo Hyun, Kim Young Nam

Yeoreum, who knows when to stay and leave even if she doesn't push her to go away because it's too hot, is already preparing for a breakup.

We'll stay for a while, and then we'll welcome the fall with a straight face when we've been making a fuss and clamoring even though we know we're going to leave soon, right?

Even before I felt the short autumn spirit, I didn't know that it would disappear like a shadow, and I complimented it as if autumn would last forever, and I didn't know when it left
One day, I will blow my breath and blame the cold again, and I will stretch my neck over the threshold and wait for spring to come.

At the same time, even if you complain that time is too fast just because you're old, you may cry because you're sad that you couldn't see it because you didn't have the courage to see it. If you cross the door and rush into the red-scented chest, you may cry because you're afraid.

Don't want me to pass by quickly, but don't beckon me to come here
It's just the time that goes by quietly alone.
If you go as you come, don't you think it's happiness and true life if you leave it as still as you go and enjoy the time and enjoy another day like a feather that was hot and cold?

It is said that the world is better even if you eat manggae fruit, but is the mountain stream where you

live and breathe now, and if it's not paradise, is it Mureung or Dowon?

It is a late August morning when bees enter and exit the window scrubber flowers.)

448. 참 잘했어요.

참 "잘" 했어요

"참 잘 했어요!"라고할 때, 잘은 어느 정도의 칭찬일까?

"잘"의 숫자는 얼마일까?

사람들의 생각에 공통 분모가 있다면 아마도 ‘세월이 참 빠르구나!’ 하는 것일게다.

실은 세월이 빠른 것은 우리가 보내는 1년 365일, 12개월, 1주일, 하루 24시간, 1시간, 1분, 1초 라는 시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그리 느끼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많다’는 표현으로 ‘억(億) 이라는 수(數)를 쓴다. 그런데 알고 보면 억 보다는 훨씬 더 큰 수들이 많다.

"억"의 만배를 '조(兆)', 조의 만배를 '경(京)'이라 하는 것은 누구나 잘 안다.

그러나 '경'의 만배를 '해(垓)', '해'의 만 배를 '자(秭)', '자'의 만 배를 '양'(壤)이라고 한다.

그 뿐이 아니다.

'양'의 만 배가 '구(溝)',
'구'의 만 배는 '간(澗)',
'간'의 만 배는 '정(正)',
'정'의 만 배는 '재(載)',
'재'의 만 배는 '극(極)'이라 한다.

여기가 끝이 아니다. 불가에서는 극의 억 배가 되는 수가 '항하사(恒河沙)'이다.

갠지스 강의 모래알 같이 많다는 뜻이다.

항하사의 억 배를 '아승기',
아승기의 억 배를 '나유타',
또 나유타의 억 배를 '불가사의' 라고 한다.

사람의 생각으로는 미치기 어려운 신비의 수가 된다.

그리고 이 불가사의의 억 배 쯤 되는 수를 "무량수" 라고 말한다.

선생님께서 참 ‘잘’ 했어요. 라고 할 때 그 ‘잘’이 어느 정도의 칭찬일까?

보통 억은 0이 8개이다. 잘은 0이 40개이다.

억.조.경.해.자.양.구.간.정.재.극.항.아.나.불.무.

"잘" 은 '정'에 해당하는 천문학적인 수로 소름끼칠 정도의 칭찬 같다.

이 엄청난 수의 세계를 알고 나면 100 년도 못사는 우리의 인생이 얼마나 짧은지를 실감하게 한다.

그러니 1년이란 세월은 그야말로 눈 깜짝할 순간이다.

이 무변광대한 우주, 이 무량대수의 기나긴 시간속에서 그저 찰나 같은 시간을 왔다가는 우리의 삶이 너무나 초라하고 보잘 것 없이 느껴진다.

그러나 이러한 삶의 촌음성이 바로 인생의 참 가치를 규정하는 근본이고, 철학적 사유의 원천이다.

우리의 만남이 소중한 이유도 그러하다.

이 넓은 천지 간에 이 땅에 태어나서 그 짧은 삶을 사는 동안 얽히고 설킨 세상사의 틈새에서 서로 만날 수 있다는  것,  그것은 확률적 계산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한 인연인 것이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은 그래서 이해가 된다. 생즉거래(生則去來), 즉 만남과 헤어짐, 그것은 오고 가는 것이다.

'1겁'은 '43억 2천만 년'이라고 힌두교에서 말한다.

가로 15km, 세로 15km 크기의 네모난 거대한 화강암 반석을 100년에 1회씩 흰천으로 닦아 반석이 마모되어 없어지는 장구하고 영원한 세월이다.

소통의 단절, 애정의 단절, 신뢰의 단절은 인간적인 삶이 아니다.

이 짧은 세월 속에 우리는 화합하고 서로 사랑하며, 생명의 환희를 느끼며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우리 인간이 만들어낸 숫자의 약속이지만 이제 그 광할함을 공부해 보니 정말 인간백세의 삶은 한 갓 먼지 한 톨만큼도 아닌 것 같다는 생각에 그저 작아지고 작아 질 뿐이네요.

그래도 한 번 이 세상에 태여났으니 너보다는 내가 잘 낫다는 이기심으로 살아 온 저 자신이 부끄럽기도 하고요.

글에서 처럼 넓고도 넓은 천지에서 우리 님과의 만남은 정말이지 저에게는 행운이였습니다.
(I did a great job

When you say, "Well done!" what kind of compliment is "well done"?

What is the number of "jal"?

If there's a common denominator in people's thoughts, it's probably, 'Time flies!'

In fact, time flies because the time we spend 365 days, 12 months, 1 week, 24 hours a day, 1 hour, 1 minute, and 1 second is too short.

We often use the word billion (億) in 數 to express "large". But it turns out that there are much more than billion.

Everyone knows well that 10,000 times of "billion" is called "Jo (兆)" and "Jo's 10,000 times is called "Gyeong."

However, the 10,000 times of "gyeong" is called "垓", the 10,000 times of "hae" is called "ja" (秭), and the 10,000 times of "ja" is called "Yang" (壤).

That's not all.

10,000 times more than "Yang" is "溝",
10,000 times more than "Goo" is "澗",
The 10,000 times of "Gan" is "Jeong",
10,000 times more than "Jeong" is "Jae (載)"
The 10,000 times of "jae" is called "the pole (極)."

This is not the end of the story. In Buddhism, "恒 沙" is the number that multiplies the number of poles.

It means there are many grains of sand on the Ganges River.

"A Seung-gi"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his life,
"NAYUTA" is a song that's worth a billion times more than Ah Seunggi,
Also, Nayuta's hundreds of millions of times is called the "unfathomable."

It becomes a mystery that is hard to reach in human thought.

And a number that's a billion times more than this mystery is called a "countless number."

When the teacher says, "You did a good job," what kind of compliment is that?

In general, there are eight zeros. There are 40 zeros in a well.

It's very hard to understand. It's very hard to understand.

"Jal" is the astronomical equivalent of "Jeong" and seems like a creepy compliment.

Knowing this enormous number of worlds makes us realize how short our lives are, less than 100 years old.

So a year is a blink of an eye.

Our lives feel so shabby and insignificant if we just come and go for the same time in this endless universe, this infinite number of times.

However, this rustic nature of life is the foundation that defines the true value of life and is the source of philosophical thinking.

That's why our meeting is precious.

It is a relationship that is impossible by probabilistic calculation to be able to meet each other in the niche of the tangled world while being born in this land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living that short life.

That's why it makes sense to say that it's fate just by touching the collar. In other words, life-time 則去來, meeting and breaking up, it comes and goes.

'1 fear' is '4.32 billion years' in Hinduism.

It is a long and eternal year in which a huge square granite rock measuring 15km wide and 15km long is wiped with white cloth once every 100 years, causing the rock to wear off.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the disconnection of affection, and the disconnection of trust are not human lives.

In these short years, we must live in harmony, love each other, and joy of life.

It's the promise of a number made by us humans, but now that I've studied its vastness, I think the life of a human centurion is not even a grain of fresh dust, so it just gets smaller and smaller.

Still, I'm ashamed of myself for living with selfishness that I'm better than you because I was born in this world once.

It was really lucky for me to meet you in a wide and wide heaven and earth like in the text.)

447. 가장 행복한 사람

가장 행복한 사람

외국의 한 잡지에서 독자들을 대상으로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幸福)한 사람은 누구인가?’ 라는 주제(主題)로 조사를 했습니다.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의견을 말했습니다.

그리고 모든 의견을 모아서 가장 행복한 사람의 순위(順位)를 매겼습니다.

4위는
위독한 환자의 수술에 성공하여 생명을 살려낸 의사였습니다.

3위는
섬세한 공예품을 세심하게 완성하고 자신의 작품을 바라보며 휘파람을 부는 목공이었습니다.

2위는
아기를 깨끗하게 목욕시키고 몸에 분을 발라주며 웃는 어머니였습니다.

그리고 대망(待望)의 1위는 모래성을 막 완성(完成)한 어린아이였습니다.

인간은 자신이 사랑하는 것, 보람 있는 일에 열중(熱中)하고 해냈을 때 진정한 행복을 느끼는 것입니다.

이렇듯 행복(幸福)은 마음의 상태에 달려 있습니다.

자신을 사랑하고 보람을 느끼는 것에 열정(熱情)을 쏟는 사람은 더없는 행복을 느끼며 살아갑니다.

< 명언 하나 >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일하는 사람, 사랑하는 사람, 희망(希望)이 있는 사람이다.
- 조지프 애디슨 -
(the happiest man

A foreign magazine surveyed readers on the subject of 'Who is the happiest (幸福) in the world?' as its main 題.

Quite a few people expressed a wide variety of opinions.

And I put all my opinions together and ranked the happiest person (順位).

The 4th place is
He was a doctor who saved his life by successfully performing surgery on a critical patient.

The 3rd place is
He was a woodworker who completed delicate crafts carefully and whistled while looking at his work.

The 2nd place is
It was a mother who bathed her baby cleanly, applied powder to her body, and smiled.

And the first place in the long-awaited (待望) was a child who had just completed a sand castle 完.

Humans are really happy when they do it by paying 熱 to what they love and what's worthwhile.

As such, happiness (幸福) depends on the state of mind.

People who devote their passion (熱情) to loving themselves and feeling rewarded live with more happiness.


< One wise saying>
The happiest person in the world is
Someone who works, someone who loves, someone who has hope (希望).
- Joseph Addison -)

446. 가슴 따뜻한 친구

가슴 따뜻한 "친구"

인생 팔십(傘壽)이 되면 가히 무심 이로다.
흐르는 물은 내 세월 같고,
부는 바람은 내 마음 같고,

저무는 해는 내 모습과 같으니
어찌 늙어보지 않고 늙음을 말하는가.

육신이 칠팔십이 되면 무엇인들 성 하리오.

둥근돌이 우연 일리 없고,
오랜 나무가 공연할 리 없고,
지는 낙엽이 온전할 리 없으니
어찌 늙어 보지 않고 삶을 논하는가.

인생 칠팔십이 되면 가히 천심(千心)이로다.
세상사 모질고 인생사 거칠어도
내 품안에 떠 가는 구름들아!
누구를 탓하고 무엇을 탐 하리오...

한평생 살면서 옳은 친구 한 명만 있어도
성공한 삶을 살았다고 한다는데...

공자가 말하기를
酒食兄弟千個有
(주식형 제천개유)
음식을 먹을때 형 동생하는 친구는 많아도
急難之朋一個無
(급난지붕일개무)
급하고 어려울 때 도움을 주는 친구는 하나도 없다.

그 누군가가 말했다.
잠시 쉬었다 가는 인생
어쩜 사랑하는 인연보다
더 소중한 사람이 노년의 친구가 아닐까?

살면서 외롭고 힘들고 지칠 때
따뜻한 차 한잔에 우정과 마음을 담아주는
그런 친구가 당신 곁에 몇 명 있는가?

인생에서 가장 큰 선물
우리는 "가슴 따뜻한 친구"가 됩시다.

인생의 주소
젊을 적 식탁에는 꽃병이 놓이더니
늙은 날 식탁에는 약병만 줄을 선다.

아! 인생 고작 꽃병과 약병 그 사이인 것을...
("Heartwarming friend"

When one becomes eighty (傘壽) in one's life, he or she becomes indifferent.
The flowing water is like my years,
The wind is like my heart,

The sunset is just like me
How can you say old without getting old.

When the body is seventy-eight years old, all men are holy.

There's no coincidence in the round stone,
An old tree can't perform,
The falling leaves can't be complete
How can you talk about life without getting old.

At the age of 780 in life, the 千 is the heart of heaven.
No matter how tough life is
Clouds floating in my arms!
Who do you blame and what do you covet...

Even if you have the right friend in your life
I heard you lived a successful life...

Confucius said
酒食兄弟千個有
(Stock-type Jecheon Oil Co., Ltd.)
When I eat, even if there are many friends who are older and younger
急難之朋一個無
(One urgent roof)
I don't have any friends who help me in times of urgency and difficulty.

Someone said.
a life of respite
How is it more than a loving relationship
Wouldn't a more precious person be a friend of old age?

When you're lonely and tired in your life
It's a warm cup of tea that contains friendship and heart
How many friends do you have around you?


the greatest gift of one's life
Let's be "heartwarming friends."

the address of one's life
When I was young, there was a vase on the table
Only bottles of medicine line the table on an old day.

Oh! Life is between a vase and a medicine bottle...)

445. 위대한 이름 손창근

위대한 이름 석자, 손.창.근

국보 '세한도'의 기부자 손창근 씨가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95세. 지난 6월 11일 별세했지만, '세한도'를 기증받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도 알지 못했다. 뒤늦게 소식을 전해 들은 박물관 측은 당혹해했다. 담당자는 "'세한도' 기증하실 때도 아무 말씀 없으시더니…. 20년 근무에 이런 일은 처음"이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차남 손성규 연세대 교수는 "아버지께서 특히 박물관ㆍ산림청에 알리지 말라 당부했다"며 "뜻에 따라 조용히 가족장으로 치렀다"고만 했다.

손 씨는 1929년 개성에서 태어났다. 1953년 서울대 섬유공학과 졸업 후 공군에서 예편했다. 1960년대 스위스 상사에서 여러 해 일한 뒤 부친과 사업을 이어갔다. 그는 '세한도'의 기증으로 2020년 문화훈장 최고 영예인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문화유산 보호 유공자 포상을 시작한 이래 금관문화훈장 수훈은 그가 처음이었다.

사실 '세한도'는 그의 마지막 기증품이다. 팔순이 되던 2008년 국립중앙박물관회에 연구 기금으로 1억원을 기부했다. 2012년에는 경기도 용인의 산림 약 200만 평(서울 남산의 2배 면적)을 국가에 기증했다. 50년 동안 잣나무ㆍ낙엽송 200만 그루를 심어 가꿔오던 시가 1천억원 땅이었다. 2017년에는 연고가 없는 KAIST에 50억 원 상당의 건물과 1억 원을 기부했다.

2018년, 구순을 맞아 『용비어천가』 초간본(1447)부터 추사의 난초 걸작 '불이선란도'까지 304점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박물관은 이를 기려 손세기ㆍ손창근 기념실을 마련했다. 추사 김정희를 중심으로 그와 교류했거나 영향을 받은 제자들의 작품까지 함께 모은 컬렉션이었다. 손창근 씨는 이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사람들 앞에서 기증의 소회를 밝혔다.

"한 점 한 점 정(情)도 있고, 애착이 가는 물건들입니다. 죽을 때 가져갈 수도 없고 고민 고민 생각하다가 박물관에 맡기기로 했습니다. 손 아무개 기증이라고 붙여주세요. 나는 그것으로 만족하고 감사합니다."
인터뷰도 한사코 마다했다. 마지막까지 남겨둔 세한도'를 기증하기로 결단한 것은 그로부터 1년 2개월 뒤였다.

대를 이은 기부였다. 개성에서 인삼재배와 무역을 하다 월남한 부친 손세기씨는 칠순을 앞둔 1973년, 당시 박물관이 없던 서강대에 보물 '양사언 초서'를 비롯해 정선ㆍ심사정ㆍ김홍도 등 고서화 200점을 기증했다. 기증서에 이렇게 남겼다.
"우리의 선조께서 물려주신 유품들을 영구보존 하여주시고 귀교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 이 박물관을 통해 우리의 옛 문화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하여주시기를 바라나이다.”

여러 차례 기부를 이어갔음에도 드러내기를 꺼렸다. 금관문화훈장 수훈 때도 자녀들만 대신 보냈다. 영상으로 전한 메시지에는 딱 한마디만 했다.
“감사합니다.​

용인 땅 기부 때는 더했다. 약속 없이 대리인만 보냈기에 산림청 직원들은 그의 얼굴도 몰랐다. “수도권 지역의 끈질긴 개발 유혹을 뿌리치기 위해 재산을 국가에 기부하기로 결심했다”며 신상을 공개하지 말아 달라고 했다. 기부를 알리는 것도 사회 기여라는 설득에 손 씨는 "자녀들도 내 뜻에 선뜻 동의했다는 것만 알려달라"고 당부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올 초 기증실을 개편하고 지난달까지 '세한도'를 특별전시했다. 손 씨는 이때도 나타나지 않았다. 아끼던 유물들이 기증돼있는 박물관이었지만 2020년 이후 발길도 하지 않았다.
국보 '세한도'는 15m 두루마리 대작이다. 추사가 1844년 그린 그림에 청나라 명사 16명이 쓴 감상문, 오세창ㆍ정인보 등 우리 문인들의 글이 붙어 길어졌다. 그림 오른쪽 아래 '오래도록 서로 잊지 말자'는 의미의 '장무상망'인이 찍혀 있다.

조용한 기부에 이은 조용한 죽음, 오래도록 잊지 말아야 할 귀한 가치를 세상에 남기고 손창근 씨는 떠났다.                      - 작성자 이동현 작가
(Great name, Son Chang-geun

Son Chang-geun, the donor of Sehando, a national treasure, died quietly. He was 95. He died on June 11, but was not even aware of it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ere he was donated. The museum was embarrassed when it heard the news belatedly. The person in charge said, "You didn't say anything when you donated Sehando…. "It's the first time I've done this in my 20-year career," he said. "My father especially told me not to inform museums and the Forest Service," said Son Sung-kyu, a professor at Yonsei University in his second son. "I quietly played as a family member according to my will."

Son was born in Kaesong in 1929. After gradua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degree in textile engineering in 1953, he retired from the Korean Air Force. After working for a trading company in Switzerland for several years in the 1960s, he continued business with his father. With the donation of Sehan, Son was awarded the highest honor in the 2020 Order of Cultural Merit. He was the first person to be awarded the Order of Geumgwan Order of Cultural Merit since the start of the award for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In fact, Sehando was his last donation. In 2008, when he was 80 years old, he donated 100 million won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s a research fund. In 2012, he donated about 2 million pyeong (2 times the size of Namsan in Seoul) of forest in Yongin, Gyeonggi Province to the state. It was a land with a market value of 100 billion won, which had been planted with 2 million pine trees and deciduous pine trees for 50 years. In 2017, the company donated 5 billion won worth of buildings and 100 million won to KAIST, which has no connection.

In 2018, the museum donated 304 pieces from the first publication of "Yongbeer Heavenly Song" (1447) to Chusa's orchid masterpiece "Buli Seondo"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museum prepared a memorial hall for Son Se-gi and Son Chang-geun. It was a collection of artworks of his students who interacted with and were influenced by him, centering on Chusa Kim Jeong-hee. Son Chang-geun expressed his feelings about donation in public for the first time and last time.

"Every single one is a 情, and I'm very attached to it. I couldn't take it with me when I died, and after a lot of thought, I decided to leave it at the museum. Please put "donate any hand" on it. That's what I'm satisfied with and grateful for."
He refused to give any interviews. It was only a year and two months after that that that he decided to donate the "Sedo," which was left to the last minute.

The donation was mad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on Se-gi, his father who defected to the South while cultivating and trading ginseng in Kaesong, donated 200 pieces of ancient calligraphy including "Yangsa-eon Chaucer" and Jeongseon, Sim Sang-jeong and Kim Hong-do to Sogang University, which did not have a museum at the time, in 1973, just before his 70th birthday. I left it on the donation form like this.
"We hope that the relics inherited by our ancestors will be preserved permanently and that the students studying at your school will help us study our old culture through this museum."

Despite repeated donations, he was reluctant to make public the order. He sent only his children when he was given the Order of the Geumgwan Order of Cultural Merit. He only said one word to the video message.
"Thank you.

He added more money when he donated land to Yongin. The staff of the Korea Forest Service didn't even know his face because he only sent an agent without making an appointment. "I have decided not to disclose my personal information, as I have decided to donate my property to the state in order to resist the persistent temptation of develop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en he was persuaded that announcing a donation is also a contribution to society, Son said, "Please just let me know that my children agreed with my will."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reorganized its donation room early this year and had a special exhibition of "Sehando" until last month. Son did

not appear at the museum, either. It was a museum where relics that he cherished were donated, but he has not visited since 2020.
"Sedo Island," a national treasure, is a masterpiece of a 15-meter scroll. The painting drawn by Chusa in 1844 was longed with writings of Korean writers including Oh Se-chang and Jeong In-bo, written by 16 prominent figures of the Qing Dynasty. In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painting, Jangmusangmang, meaning "Let's not forget each other for a long time," is stamped.

A Quiet Death Following A Quiet Donation Son Chang-geun left behind a precious value that should not be forgotten in the world for a long time. - Author Lee Dong-hyun)

2025년 8월 26일 화요일

444. 톨스토이의 마지막 시와 영혼의 여정

톨스토이의
마지막 詩와 영혼의 여정

"나 이제 가노라,
나의 시간이
다 하였노라.

땅은 나를 돌려보내고
하늘은 나를 불러 이끄노라.

많은 것을 보았고,
더 많은 것을 알지 못했으며,

사랑을 알았고, 진리를 향해 걸었노라.

모든 것을 버리고
이제는 모든 것을 품으러 가노라.

죽음이여,
너는 나의 문이로다.
영원한 생명의 문이로다."

이 詩는 톨스토이가 마지막 남긴 詩로써
초고, 편지, 일기의 여러 구절들을 엮어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 짧은 詩는 인생의 마지막 문턱에 선 레프 톨스토이의 영혼이 세상과 나누는 마지막 인사처럼 들린다. 부와 명예, 문학적 명성을 한 손에 거머쥐었던
한 인간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사랑을 알았고, 진리를 향해 걸었노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 그 여정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귀족에서 구도자로
레프 톨스토이는 러시아의 대지주 집안에서 태어나, 부와 교육, 문학적 성공을 일찍이 경험했다.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는 그를 세계적인 문호의 반열에 올려놓았지만, 그는 어느 순간 깊은 허무와 절망에 빠진다. “나는 왜 사는가? 죽음 이후에는 무엇이 있는가?”라는 물음이 그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이 치열한 내적 고뇌는 『참회록:(Confession)』이라는 작품으로 남았고, 그 책에서 그는 신앙 없는 삶의 무의미함을 고백한다.

톨스토이는 교회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이 담긴 성서, 특히 산상수훈에서 삶의 지표를 찾는다. 그리고 모든 것을 뒤로한 채 진리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왜 예수를 찾았는가?

그가 만난 예수는 기적을 일으키는 신이 아니라, “왼뺨을 때리거든 오른뺨도 돌려대라”고 말하며, “악을 악으로 갚지 말라”고 가르치는 사람이었다.

톨스토이는 그런 예수에게서 사랑과 용서, 무저항과 평화의 윤리를 보았다.

그는 말한다.

“나는 예수의 가르침이야말로 인간 존재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진리라고 확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귀족의 옷을 벗고, 수공 일을 배우며, 마차 대신 맨발로 걷고, 가난한 자와 함께 밭을 갈았다.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글로 옮겨,《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와 같은 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했다.
행함 없는 신앙은 죽은 것이라는 믿음이 그를 행동하게 했다.

마지막 선택!
마지막 詩!

죽음이 가까워졌을 무렵, 그는 결국 가족과도 떨어져 한밤중 몰래 기차를 타고 수도원으로 향하는 길에 나섰다.

세속과 결별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병이 악화되어 기차역에서 쓰러졌고, 한 작은 간이역에서 생을 마감하게 된다.

그의 유언처럼 전해지는 이 마지막 詩는, 고통과 갈등의 세월 끝에 마침내 얻은 평화의 숨결처럼 느껴진다.

“모든 것을 버리고 / 이제는 모든 것을 품으러 가노라”는 말은, 단지 죽음을 향한 선언이 아니라 영혼이 지향하던 완성이었다.

우리에게 남긴 것!

톨스토이의 마지막은 끝이 아닌 완성이었다.
그는 위대한 작가로 기억되기보다, 진리를 추구한 한 인간으로 살고자 했다. 그의 삶은 이렇게 묻는다.

“당신은 무엇을 위해 버릴 수 있는가? 당신은 누구를 위해 사랑할 수 있는가?”

우리도 언젠가 이 세상을 떠나야 한다. 그날, “나는 진리를 향해 걸었다”고 말할 수 있으려면,
지금 이 순간부터 걸음을 다시 내디뎌야 하지 않을까.^^♡♡
(Tolstoy's
The journey of the last poem and soul

"I'm going now,
My time
I'm done.

The earth sent me back
The sky calls me and makes me cry.

I've seen a lot of things,
I didn't know much more,

I knew love, and I walked toward the truth.

forsake everything
Now go embrace everything.

Oh, my God,
You are my doorway.
It is the door to eternal life."

This poem is the last one left by Tolstoy
It seems to have been made by combining several passages from drafts, letters, and diaries.

This short poem sounds like the last greeting that Lev Tolstoy's soul shares with the world at the end of his life. He won wealth, honor, and literary fame in one hand
That a human being could put everything down and say, "I knew love, and I walked towards the truth." How was the journey possible?

from aristocrats to archivists
Born into a Russian squire family, Lev Tolstoy experienced early wealth, education, and literary success.

War and Peace and Anna Karenina put him in the ranks of world-class literature, but at some point, he falls into deep emptiness and despair. The question, "Why do I live? What happens after death?" shook his life.

This fierce internal anguish remained a work called Confession, in which he confesses the meaninglessness of a life without faith.

Tolstoy finds indicators of life in the Bible containing the words of Jesus Christ, not in the church, especially in the San Sangsu Order. And he begins to follow the path of truth, leaving everything behind.

Why did you find Jesus?

The Jesus he met was not a miracle-making god, but a man who taught, "If you hit your left cheek, turn your right cheek as well," and "Don't pay back evil with evil."

Tolstoy saw the ethics of love and forgiveness, resistance and peace in such Jesus.

He says.

"I became convinced that the teachings of Jesus were the highest truth human beings could reach."

So he took off his aristocrat's clothes, learned to do crafts, walked barefoot instead of a carriage, and plowed the fields with the poor.

I tried to convey the teachings of Christ in writing through works such as "What do people live by?"
The belief that faith without action was dead brought him into action.

Last choice!
The last poem!

Near death, he eventually fell away from his family and secretly took a train in the middle of the night and set out on his way to the monastery.

It was to break up with the world. However, his illness worsened and he collapsed at a train station, and he died at a small simple station.

This last poem, conveyed like his will, feels like a breath of peace finally achieved after years of suffering and conflict.

"Throw away everything /

Now go embrace everything" was not just a declaration to death, but the completion that the soul was aiming for.

What's left for us!

Tolstoy's end was not the end but the completion.
Rather than being remembered as a great writer, he wanted to live as a human being who pursued truth. His life asks like this.

"What can you throw away for? For whom can you love?"

We must leave this world someday. To be able to say, "I walked for the truth," that day,
Shouldn't we take a step back from this moment? ^^♡♡)

443.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선물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선물 *

대학교에서 사회 심리학을 가르치는 젊은 교수님이 있었습니다.
여름방학이 돼자 집에서 다음학기에 가르칠 교과목의 자료를 정리하고 있었는데 뛰어노는 아들 둘의 소음에 집중이 안돼자 노트북을 챙겨들고   집에서 가까운 전철 옆의 카페로 갔습니다.

카페로 도착할 무렵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점점 굵은 비로 바뀌어 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전철역 입구의 한 쪽 옆에서 어린 소녀가 우비를 입고 우산을 팔고있었습니다.
어린 아이 혼자서 우산을 팔고있는 모습이 신기한   생각이 든 교수님이 아이에게 다가가 물었습니다.

" 몇학년이니? " 아이가 생글 생글 웃으며 대답을 했습니다.
" 4학년이요~"
" 부모님은 어디 계시고 네가 팔고있니? "
" 아버지는 지방으로 일하러 가셨고 엄마는 아파서 누워 계셔서 제가 팔고있어요.
엄마 약값이라도 보탤려구요..."
아이는 전혀 구김살이 없이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말하고 있었습니다.
자신의 큰 아들하고 같은 학년인데 저렇게 의젓한 행동에다
아픈 엄마를 위해 우산을 팔고있는 아이가 대견하다는 생각이든 교수님은 무언가를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들자

" 우산하나 줄래? 가격은 얼마야? "
“ 5천원인데요~
금방 비가 그칠 것 같으니 안사셔도 될것 같은데요~ ”
아이는 해맑게 웃으며 대답을 했습니다.
천진스런 아이의 대답에 교수님은 이 아이가 효심이 깊고 정직한 아이라는 것을 느낄 수가 있었습니다.
평소 이런 딸을 갖고 싶었었는데...
교수님은 이런 딸을 둔 부모님이 부러웠습니다.

우산을 사서 역 근처의 카페로 들어간 교수는 일부러 창가에 앉아 노트북을 켠채 예의주시해 창밖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장사 보다는 손님을 향한 배려가 넘쳤던 정직한 아이의 행동이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기   때문입니다.

아이는 시종일관 밝은 표정으로 우산을 팔고 있었습니다.
손님들도 아이가 대견한지 머리를 쓰다듬어 주곤 했습니다.
잠시 후 비가 그치자 언제 비가 내렸나는 듯이 햇빛이 쨍쨍 떴습니다.
장사를 끝낸 아이가 짐을 챙기다 말고 어디론가 뛰어 갔습니다.
지하철 입구에서 힘없이 앉아있는 할아버지 한테로 뛰어갔던 것입니다.
아이는 구걸하고 있는 할아버지 손에 2천원을 쥐어 드렸습니다. 할아버지는 그렁그렁 눈물이 맺힌채 말했습니다.

" 네가 고생해서 판 돈인데 팔때마다 나한테 주면 어떡하니.... " 아이는 그 소리가 떨어지기도 전에 깡총깡총 뛰면서 제자리로 돌아 왔습니다.
그리고는 비가 그치기를 기다렸던  할머니가 빈박스를 잔뜩 실은채 리어카를 끌고가자 아이는 얼른 뛰어가 고사리 같은 손으로 밀어 드렸습니다.
잠깐 동안에 벌어진 일이었지만 어린 나이에 어른을 공경할 줄 알고 자신의 소중한 것을 어려운 이웃에게 베풀어 드릴 줄 아는 아이의 선행을 보게 된 교수님은 마음속에 작은 감동이 밀려오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교수님은 그동안 살아오면서 세상에 대하여 불신감으로만 가득찼던 의심이란 물음표(?)가 소녀의 행동을 통하여 세상은 아직도 아름답다는  것을 깨닫게 됐고 어느새 따뜻한 느낌표(!)로 바뀌어가고 있었습니다.

늦장마가 무섭다고 다음 날에도 비가 내렸습니다. 서재에서 서류를 정리하고 있던 교수님은 그 아이가 오늘도 우산을 잘 팔고 있는지 궁금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수님은 빵과 우유를 사들고 아이가 있는 곳으로 갔습니다.
아이는 교수님을 알아보고는 똑같이 밝은 표정으로 반가워 했습니다.
교수님이 빵과 우유를 건네주며 배가 고플텐데 먹으라고 하자 아이는 공손하게 머리를 숙이며 고맙습니다
인사를 하고는 곧바로 건네받은 빵과 우유를 들고 어디론가 뛰어 갔습니다. 
바로 그 할아버지  한테로 뛰어갔던 것입니다.

" 할아버지 배가 고프실텐데
이것 좀 드세요~" 아이는 직접 우유를 따고 빵 봉지를 뜯어내서 공손히 할아버지께 드렸습니다.
할아버지가 맛있게 드시는 모습을 바라본 아이는 해맑게 웃으며 돌아왔습니다.
교수님이 아이에게
물었습니다.

“ 너도 배가  고팠을텐데 그냥 먹지 그랬어.. "
아이는 환하게 웃으며 대답을 했습니다.

“ 저는 늦게 밥을 먹었서 괜찮아요~
저 보다는 저 할아버지가 배가 고프셔서 더 필요하실 것 같거든요...."
어른보다 더 의젓하게 대답하는 아이의 눈망울이 너무나 맑게 보였습니다.

교수님은 다른 사람에게 줄거라며 5천원 짜리 우산을 구입하고는 슬쩍 5만원 짜리를 돈통에 넣고는 살며시 그 자리를 빠져 나왔습니다.

다음날이 돼자  교수님은 지하철을 타기위해 그 옆을 지나가고 있었는데 그 자리에 아이는 없고 대신 벽면에
( 거스름 돈을 찾아 가세요~ )
라는 내용과 함께 아이의 전화번호가 적혀있는 종이가 비니루에 쌓인채 벽에 붙어 있었습니다.

며칠 후 그날도 비가 내렸는데 교수님은 그 옆을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힐끗 돌아보니 아이는 손님에게 우산을 팔고 있었습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밝고 맑은 표정으로...
설마 기억을 못하겠지 했는데 아이가 교수님을  알아보고는 반갑게 뛰어와 인사를 했습니다.

" 안녕하셨어요? "
그리고는 꼼꼼하게 비닐에 싼 4만 5천원이 담긴 봉투를 교수님에게 정중하게 전해 드렸습니다.

“ 아저씨 지난 번에 5만원 짜리를 5천원 인 줄 알고 잘못 주신 것 같아요~"
환한 웃음과 함께
거스름 돈을 건네주는 아이는 마치 날개없는 천사와 같아 보였습니다.
교수님은 아이를 살며시 끌어안고 말했습니다.

“ 그것은 천사인 너에게 주고싶은 세상에서 가장 귀한 아저씨의 선물이란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방울이 교수님과 아이를 포근하게 감싸주고 있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선물은 어린 아이와 같은 자신보다는 다른 사람이 더 필요할 것 같다는 따뜻한 마음과 말이 아닐까요?
정직한 사람의 손길은 솜처럼 포근하지만 자신이 가진 소중한 것을 남에게 아낌없이 전해주는 손길은  따뜻하다 못해 뜨겁습니다.

그리고 어렵고 힘든 사람들을 돕고 베풀다 보면 세상은 불신이란 물음표는 사라지고  신뢰와 긍휼함이 되살아나는  느낌표로 바뀌게 될 것 입니다.
그런 세상속에서  우리 모두의 삶이 날마다 기쁨과 행복으로만 가득 넘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
(the most precious gift in the world *

There was a young professor who taught social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During the summer vacation, I was organizing materials for the next semester at home, but I couldn't concentrate on the noise of my two sons running around, so I took my laptop and went to a cafe next to the subway near my house.

By the time we arrived at the cafe, the raindrops began to fall and gradually turned into thick rain.
But next to one side of the entrance of the subway station, a little girl was selling umbrellas wearing a raincoat.
The professor, who thought it was strange to see a young child selling umbrellas alone, approached the child and asked.

" What grade are you in?" the child replied with a smile.
" I'm in the fourth grade."
" Where are your parents and are you selling them?"
" My father went to work in the countryside and my mom is sick and lying down, so I'm selling it.
Mom, I'm going to pay for the medicine..."
The child was speaking with an innocent look without any wrinkles.
He's in the same grade as his eldest son, and he's so polite
Whether you think you're proud of a child selling umbrellas for a sick mother, the professor wants to help you with something

" Can you give me an umbrella? How much is it?"
" It's 5,000 won
"I don't think you need to buy it because the rain will stop soon."
The child replied with a bright smile.
In response to the innocent child's answer, the professor could feel that this child was a filial and honest child.
I've always wanted to have a daughter like this...
The professor envied his parents who had such a daughter.

The professor, who bought an umbrella and entered the cafe near the station, deliberately sat by the window and looked out the window with his laptop on.
This is because the honest child's behavior, which was full of consideration for customers rather than business, aroused curiosity.

The child was selling umbrellas with a bright expression all the time.
Customers would also pat their children on the head to see if they were proud of them.
After a while, when the rain stopped, the sun rose as if it had rained.
The child who finished the business ran somewhere without taking his luggage.
He ran to his grandfather Han, who was sitting weakly at the entrance of the subway.
He put 2,000 won into the begging grandfather's hand. He said with tears in his eyes.

" How can you give it to me every time you sell it... " The child hopped back to his place before the sound had even fallen.
Then the old lady, who had been waiting for the rain to stop, dragged the rear car with a full of empty boxes, and the child ran quickly and pushed her with a fern-like hand.
Although it happened for a short time, the professor, who saw the good deed of a child who knew how to respect adults and how to give his precious things to his neighbors in need at a young age, had a small impression in his heart.

Then, the professor realized that the question mark (?) of doubt, which had been full of distrust in the world throughout his life, was still beautiful through the girl's actions, and it was changing into a warm exclamation mark (!).

It rained the next day because I was afraid of the late monsoon. The professor, who was organizing the documents in the study, wondered if the child was selling umbrellas well today.
The professor bought bread and milk and went to the place where the child was.
The child recognized the professor and welcomed him with the same bright expression.
The professor handed me bread and milk and told me to eat while I was hungry, and the child bowed politely and thanked me
After greeting him, he immediately ran somewhere with the bread and milk he was handed over. 
That's the grandfather who ran to Han.

" Grandpa, you must be hungry
Have some of this." The child opened the milk himself, opened the bread bag, and politely gave it to his grandfather.
The child, who watched his grandfather eat deliciously, returned with a bright smile.
The professor told the child
I asked.

" You must have been hungry too, so why didn't you just eat..."
The child replied with a big smile.

" I ate late, so it's okay
I think he needs more because he's hungry than I am."
The eyes of the child, who answered more decisively than the adult, looked so clear.

The professor bought an umbrella worth 5,000 won, saying he would give it to someone else, and then secretly put 50,000 won in the money container and gently exited the place.

The next day, the professor was walking by to get on the subway, and there was no child there, but instead, on the wall
(Find the change money~)
Along with this, a paper with the child's phone number was piled up on the beanie and attached to the wall.

A few days later, it rained again that day, and the professor was passing by it.
I took a glance and found that the child was selling umbrellas to customers.
As always, with a bright and clear face...
I thought you wouldn't remember, but the child recognized the professor and ran happily to say hello.

" How have you been?"
Then, I politely delivered an

envelope containing 45,000 won wrapped in plastic to the professor.

" "Mister, I think you gave me the wrong 50,000 won last time because you thought it was 5,000 won."
with a bright smile
The child handing over the change money looked like an angel without wings.
The professor gently embraced the child and said.

" It's the gift of the most precious uncle in the world I want to give you, an angel..."
Raindrops falling from the sky were warmly surrounding the professor and the child.

Wouldn't the most precious gift in the world be the warm heart and words that seem to need someone else more than yourself, such as a young child?
The hands of an honest person are as cozy as cotton, but the hands that generously deliver what they have to others are warm and hot.

And if you help and give to those who are in need, the world will turn into an exclamation mark where the question mark of distrust disappears and trust and mercy are revived.
May our lives be filled with joy and happiness every day in such a world
I hope so ^^)

442. 노인의 네 가지 고통

ㅡ 노년사고(老年四苦) ㅡ

이 세상(世上)에 늙지 않는 사람은 없다. 노후-노년은 아무도 避(피) 하지 못하는 모두의 切實(절실)한 現實(현실)이다.

그것을 豫見(예견)하고 準備(준비) 하는 사람과 自己(자기)와는 無關(무관)한 줄 알고 사는 사람이 있을 뿐이다.

'노년사고(老年四苦)'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라 나도 반드시 겪어야 하는 바로 나의 일이라는 事實(사실)을 알아야 한다.

🍒 첫째가 貧苦(빈고)이다
같은 가난이라도 노년의 가난은 더욱 苦痛(고통)스럽다.
갈 곳이 없는 노인들이 공원에 모여 앉아 있다가 無料給食(무료급식) 으로 끼니를 때우는 光景(광경)은 이미 익숙한 風景(풍경)이다.

나이 들어 가진 것이 없다는 것은
解決方法(해결방법)이 따로 없는,
그렇다고 그대로 放置(방치)할 수 없는 社會問題(사회문제)이기도 하다.

일차적인 책임은 물론 본인에게 있는 것이지만, 그들이 우리사회에 기여한 노력에 대한 최소한도의 배려는 제도적으로 보장되어야 하지 않을까?

빈고를 위한 개인의 준비는
저축과 보험, 년금 가입 등
방법은 다양할 수 있겠다.

결코 노년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지금처럼 평균수명이 길어진 시대일수록 은퇴후의 삶이 더욱 중요하게 생각된다.

🍒 두번째가 孤獨苦(고독고)다
젊었을 때는 어울리는 친구도 많고
호주머니에 쓸 돈이 있으니 친구, 친지들을 만나는 기회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나이 들어 수입이 끊어지고, 나이가 들면 친구들이 하나, 둘 먼저 떠나고, 더 나이 들면 육체적 으로도 나들이가 어려워진다.

그때의 고독감은 생각보다 深刻(심각)하다. 그것이 마음의 병이 되는 수도 있다. 혼자 지내는 練習(연습)이 그래서 필요하다.

사실 가장 강한 사람은 혼자서도
잘 보낼 수 있는 사람이다.

고독고는 전적으로 혼자의 힘과 노력으로 克服(극복)해야 한다.
가족이라 해도 도와 줄 수 없는
전적으로 자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 세번째가 無爲苦(무위고)이다
사람이 나이 들어 마땅히 할 일이
없다는 것은 하나의 고문이다.

몸도 건강하고 돈도 가지고 있지만
할 일이 없다면 그 고통에서 벗어 나지 못한다. 노년의 가장 무서운 적이 무향함이다.

하루 이틀도 아닌 긴 시간을 할 일 없이 지낸다는 것은 정말 고통 스러운 일이다.

그래서 특별한 준비와 대책이 필요하다. 나이가 들어서도 혼자 할 수 있는 것,

특히 자기의 기질, 적성을 감안해서
소일꺼리를 준비해야 한다.
혼자 즐길 수 있는 취미생활과
연관짓는 것은 필수적이다.

가장 보편적이고 친화적인 것이
독서나 음악감상 등이다.

그러나 이런 생활도 하루아침에 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미리 긴 시간을 두고 준비하며
순응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일상생활속에 자리 잡을 수 있다.

서예나 회화도 좋으나 뚜렷한
목표 없이는 성공하기가 어렵다.

다른 하나는 노년층에도 급속도로 보급되는 컴퓨터를 잘 다루는 것이다.

생소한 분야이기 때문에 어렵다고
지레 겁먹고 접근을 주저하는 것은
자신에 대한 저주 라고도 할 수 있다.

초등학교 5학년의 지능과 지식이면 컴퓨터의 조립도 가능할 정도로 體系的(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되어 있다.

전문가나 유식한 사람만이 쓸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만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아직 글도 익히지 않은 4살짜리가
혼자서 게임을 즐긴다면 믿겠는가?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고 주변에서 목격했을 것이다.

지금은 컴퓨터를 못하면 疎外階層(소외계층)이 되는 새상이다.

e-메일은 물론, 개인 홈피나 불로그를 개설해서 운영하면 새로운 세계가 펼쳐지는 것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만큼 다른 세대도 이해할 수 있고
젊게 사는 방법이기도 하다.

블로그나 홈피에 글을 올리려면
공부도 좀 해야 하고 많은 정보를 검색해서 取捨選擇(취사선택)하게 되므로 시간이 그렇게 잘 갈 수가 없다고들 한다.

무위나 無聊(무료)와는 거리가 멀게 될 것이다.

노년에 두려워하는 치매 예방에도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다고 한다.
사이버 세계에는 시대차이가 없다.
모두가 네티즌일 뿐이다.

🍒 마지막이 병고이다.
늙었다는 것은 그 육신이 닳았다는 뜻이다. 오래 사용했으니 여기저기 고장이 나는 것은 당연하다.

고혈압, 당료,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심장질환, 요통, 전립선 질환, 골다공증...
세계는 모든 노인들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노인병들이다.

늙음도 서러운데 병고까지 겹치니
그 심신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늙어 병들면 잘 낫지도 않는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키고 관리해야 한다.

무릎 보호대도 건강한 무릅에 쓰는 것이지 병든 무릎에는 무용지물이다.

수많은 노인들이 병고에 시달리는 것은 불가항력 적인 것도 있겠지만
건강할 때 관리를 소흘히 한 것이
원인 중의 하나이다.

노년이 되어서 지병이 없는 사람도 드물겠지만 체력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나이 들어서도 계속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운동은 '걷기’이다.

편한 신발 한 컬레만 있으면 된다.

지속적인 걷기는 심신이 함께 하는 운동이다. 오랫동안 꾸준히 걷는 사람은 아픈 데가 별로 없다.

그건 전적으로 자기와의 고독하고 힘든 싸움이기도 하다.

노년사고는 옛날에도,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모든 사람 앞에 있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운 좋은 사람은 한두가지 고통에서
피할 수 있을는지 몰라도 모두를 피할 수는 없다.

그러나 준비만 잘 하면 최소화할 수는 있다. 그 준비의 정도에 따라 한 인간의 노년은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도 있다.

"인간은 그 누구라도 마지막에는 ‘혼자’다. 오는 길이 '혼자’였듯이 가는 길도 ‘혼자’이다.

그러나 지나온 시간 속에서 맺어진
소중한 인연과 만남의 기억이
노년의 외로운 시간들을 지탱하는
힘이 된다.

어울릴 수 있을때, 만날 수 있을때
좋은 추억을 많이많이 쌓아두자."
(- Old age accident (four 苦 of 老 year) -

There is no one who does not age in this world. Old age is a desperate 現實 (reality) for everyone that no one can 避.

There are only those who 豫見 (predict it) and 準備 (preparation) and those who live with the idea of having nothing to do with 己 (self).

You should know the 實 (fact) that '老 苦' is never someone else's business and that I must go through it.

🍒 The first one is 貧苦 (Bingo)
Even with the same poverty, poverty in old age is more 苦痛.
Gwanggyeong 景, where elderly people with nowhere to go sit in the park and eat with no 料給食 (free meals), is a familiar 風景.

The fact that you don't have anything when you're older
解決There is no separate method of solution,
However, it is also a social 問題 that cannot be 放置 (left unattended).

The primary responsibility is, of course, the person himself, but shouldn't the minimum consideration for the efforts they have contributed to our society be systematically guaranteed?

My personal preparation for Bingo is
savings, insurance, annual payments, etc
There can be many different ways.

Never take old age lightly. Life after retirement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the era of longer life expectancy.

🍒 The second is 孤獨苦
When I was young, I had a lot of friends that fit me well
I have money to spend in my pocket, so I can make an opportunity to meet my friends and relatives.

However, as they get older, their income is cut off, and as they get older, their friends leave one or two first, and as they get older, it becomes physically difficult to go out.

The feeling of loneliness at that time is 深刻 (serious) more than you think. It can be a mental illness. That's why I need 練 (practice) to be alone.

Actually, the strongest person is by himself
It's a person who can spend it well.

Solitude must 克服 (overcome) entirely with its own strength and effort.
I can't help you even if you're a family member
Because it's entirely his own problem.

🍒 The third one is 爲苦
When a person gets older, he or she deserves to do it
Not having is a torture.

I'm healthy and I have money
If you have nothing to do, you cannot escape the pain. The scariest enemy of old age is indifference.

It's really painful to spend a long time without anything to do, not even a day or two.

Therefore, special preparation and countermeasures are needed. Something that you can do alone even when you get older,

Especially considering your temperament and aptitude
You have to prepare a cow.
It's a hobby that you can enjoy alone
It is essential to relate.

The most universal and friendly thing is
Reading and listening to music.

However, this kind of life does not happen overnight.

We prepared for a long time in advance
You have to work hard to adapt
It can be established in everyday life.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good, but distinct
It is difficult to succeed without a goal.

The other is to handle computers that are rapidly spreading to the elderly.

It's hard because it's an unfamiliar field
To be frightened and hesitant to approach
It can also be called a curse on yourself.

The intelligence and knowledge of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re systematic and logical enough to assemble a computer.

It is not designed to be used only by experts or knowledgeable people, but to be easily used by everyone,

A 4-year-old who hasn't even learned how to write
Would you believe it if you enjoyed playing games alone?
But this is true and must have been witnessed around.

Now, if you can't use a computer, you will become a 疎 階層.

You will experience a new world unfolding if you open and operate a personal homepage or blog, as well as email.

That's how much other generations can understand it
It's also a way to live young.

To post on your blog or homepage
It is said that time cannot go so well because you have to study a little and search for a lot of information and 取捨選擇 (courtesy selection).

It will be far from nothing or 聊 (free).

It's not only about preventing dementia in old age
It is said that there is no better way.
There is no time difference in the cyber world.
Everyone is just a netizen.

🍒 The last is Byeonggo.
Old means that the body is worn out. It's natural that it breaks down here and there because it's been used for a long time.

High blood pressure, sugar,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heart disease, back pain, prostate disease, osteoporosis...
The world is shared by all the elderly
It's geriatric disease that they have.

It's sad to be old, but it overlaps with illness
The mental and physical pain is indescribable.

It doesn't heal well when you get old and sick.
Health should be protected and managed when healthy.

Knee guards are also used for healthy risk, and they are useless for sick knees.

It may be overwhelming for many elderly people to suffer from illness
When you're healthy, taking care of yourself is
It is one of the causes.

Rarely do people not have chronic diseases in old age,

but they must actively manage their physical strength.

It's something I can do even when I'm old
The most effective exercise is 'walking'.

All you need is a curl of comfortable shoes.

Continuous walking is a mental and physical exercise. People who walk steadily for a long time are not sick.

It's a completely solitary and hard fight with yourself, too.

Old age accidents are an inevitable reality in front of everyone in the past, now, and in the future.

A lucky man can suffer from one or two things
It may be avoidable, but not everyone.

However, it can be minimized with good prepara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eparation, a person's old age can be completely different.

"Human beings are 'alone' at the end. Just as the way is 'alone', the way is 'alone'.

But in the time that passed
The precious memories of our relationship and meeting
sustaining the lonely times of old age
It gives me strength.

When you can fit in, when you can meet
Let's make a lot of good memories.")

441. 삶의 과정이 행복이다.

삶의 과정이 행복인 것을.."

산 꼭대기에 오르면 행복 할거라 생각 하지만
정상에 오른다고 행복한 건 아니다.

어느 지점에 도착하면
모든 사람이 행복해지는 그런 곳은 없다.

같은 곳에 있어도 행복한 사람이 있고 불행한 사람이 있다.

같은 일을 해도  즐거운 사람이 있고 불행한 사람이 있다.

같은 음식을 먹지만 기분이 좋은 사람과 기분 나쁜 사람이 있다.

같은 물건, 좋은 음식, 좋은 장소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것들을 대하는 태도이다.

무엇이든 즐기는 사람에겐 행복이 되지만 거부하는 사람에겐 불행이 된다.

정말 행복한 사람은 모든 것을 다가진 사람이 아니라
지금 하는 일을 즐거워 하는 사람,
자신이 가진것을 만족해 하는 사람, 하고 싶은 일이 있는 사람,
갈곳이 있는 사람,  갖고 싶은 것이 있는 사람이다.

-김홍신 ‘죽어도 행복을 포기하지 마라’ 中-
(that the process of life is happiness..."

I think you'll be happy if you climb to the top of the mountain
Being at the top doesn't make you happy.

When you arrive at a certain point
There is no such place where everyone is happy.

There are happy people and unhappy people even if they are in the same place.

There are those who are happy and those who are unhappy even if they do the same thing.

There are people who eat the same food but feel good and people who feel bad.

What is more important than the same thing, good food, and good places is the attitude toward them.

It is happiness for those who enjoy anything, but unhappiness for those who refuse.

A person who is really happy is not a person who has everything
People who enjoy what they're doing now,
Someone who is satisfied with what they have, someone who wants to do something,
It's someone who has a place to go, someone who

wants to have something.

-Kim Hong-shin, "Don't give up on happiness even if you die."-)

2025년 8월 24일 일요일

440. 추어탕의 효능

우수한 단백질이 많고 칼슘과 비타민 A, B, D가 많기 때문에 정력을

돋구어 주는 강장, 강정식품으로 <본초강목> 에 보면 "미꾸라지는 배를

덥히고 원기를 돋우며, 술을 빨리 깨게 하고 스테미너를 보하여 발기불능

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있다.



▶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인 칼슘과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비타민 A와 D는 알과 난소에 특히 많이 들어 있으므로 뼈를 거를 때 염두

해 걸러야하고 추어탕은 미꾸라지의 내장까지 함께 끓여서 조리하기 때

문에 비타민 A와 D의 손실이 거의 없다.



▶ 미꾸라지는 칼슘과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각종 무기 질 등으로 형성

된 고단위 영양제나 다름없다. 그래서 옛부터 어른들은 몸이 허하면 미꾸

라지 탕이나 미꾸라지 어죽을 먹었던 것이다.



▶ 피부와 혈관, 내장에 생기를 주어 젊음을 유지 시키고 숙취 해소에 도

움을 준다. 특히 추어탕에 함유돼 있는 콘드로이친은 미끈미끈한 미꾸라

지의 점액물에 많이 들어 있다.



▶ 추어탕은 위장에 전혀 무리를 주지 않으며 소화가 빨라 위장질환 등에

적합한 음식이며 나이가 들어 소화력이 떨어져 있거나 병환 뒤 회복기나

수술 전,후의 기력 회복에 많은 효과가 있다.

출처
blog.naver.com
접기
UP2DOWN
댓글1
(It has a lot of excellent protein and calcium and vitamins A, B, and D

If you look at "Boncho Gangmok" as a tonic and Gangjeong food that makes it stand out, "The loach is a pear."

Heated, rejuvenated, quickly sobered and sent a staminer to impotence

have an effect on.



▶ It is rich in calcium and vitamins, which are essential nutrients for our body.
Vitamin A and D are especially high in eggs and ovaries, so keep in mind when you skip bones

You have to filter out the sun, and when you boil loach's intestines and cook loach soup

There is little loss of vitamins A and D in the door.



▶ Loach is formed of calcium, protein, essential amino acids, various minerals, etc

It's like a high-level nutritional supplement. So, since ancient times, adults have been puzzled when their bodies are empty

They ate large soup or loach porridge.



▶ It revitalizes the skin, blood vessels, and intestines to maintain youth and relieve hangovers

It gives a lot of help. In particular, chondroitin contained in loach soup is a slippery loach

There is a lot in the mucus of the paper.



▶ Chueotang does not strain the stomach at all and is digested quickly

It's a suitable food, and it's

hard to digest because you're old, or you're recovering after illness

It has many effects on restoring energy before and after surgery.

Sources
blog.naver.com
Folding
UP2DOWN
Comment 1)

528. 손을 들어서 낫는 치법

식사하다가 목에 가시가  걸리거나 나이 들면 갑자기 다리에 쥐가 날 때가 있습니다. 이때 신기하게 낮은 방법이 있습니다. 손을 들어서 낫는 치료법입니다. 친구 한 명과 함께 식사하는데 친구가 실수로 생선 가시가 걸려 목이 메었습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