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25일 토요일

189. 고추장의 항암 효과

고추의 매운 성분이 위점막 보호와 항암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영남대 장류연구소가 3일 ‘고추장의 산업화 기술 및 과학화’를 주제로 개최한 전국학술대회에서 서울약대 서영준 교수는 “고추 추출물과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을 쥐에 투여했더니 위점막 손상 보호효과가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기존 궤양치료제인 시메티딘에 버금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일반인들이 알고있는 자극성 있는 매운 음식의 섭취가 위점막을 손상시켜 만성 위염 및 위암의 원인이 된다는 인식을 뒤집는 것이다.   또한 이날 영남약대 김정애 교수도 “캡사이신은 사람의 신경암과 간암, 방광암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결과를 확인했다”며 항암효과에 대해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두 교수의 연구내용을 요약했다.   ◇고추의 매운 성분 캡사이신의 발암억제-서울약대 서영준 교수 고추의 매운 성분이 위점막을 손상하고 위염을 발생한다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상용량의 섭취는 위궤양의 발생을 억제하고 치료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추 추출물과 캡사이신을 쥐에 투여했더니 아스피린이나 알콜로 유도된 위점막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비록 동물실험이긴 하나 효과는 궤양치료제인 시메티딘에 버금가는 것이다.   고추 섭취가 상대적으로 많은 싱가폴, 말레이시아, 인도에서는 위암이나 대장암 발생률이 현저히 낮은데 이는 캡사이신이 위장관 운동을 촉진하고 위점막을 방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멕시코의 경우도 고추 섭취량이 많지만 위암 발병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본 연구실이 수행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캡사이신은 위에서 생성되는 대표적 발암물질인 나이트로소아민의 돌연변이를 억제하고, 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하는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최근의 연구들은 고추나 캡사이신이 발암억제제나 항암제로 쓰일수 있다는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볼때 매운 음식의 섭취가 한국인의 높은 위암발병과 관계가 깊다는 점은 재고돼야 하며 오히려 고추의 기능과 약리활성을 과학적 방법으로 규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캡사이신의 암세포 사멸효과-영남약대 김정애 교수 오랜세월 섭취해온 고추의 캡사이신이 발암물질로 작용할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최근의 임상연구결과는 오히려 그 반대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실은 여러 암세포를 대상으로 캡사이신이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효과에 대한 실험을 했다.   캡사이신은 사람 신경교암 및 신경암 세포에 대해 농도의존적으로 사멸을 유도했다. 또 한국인에게 많은 간암 암세포주인 HepG2에 대해서도 사멸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캡사이신이 세포내 칼슘농도의 증가를 유도하고 이것이 세포막 NADPH oxidase의 활성 및 COX-2의 발현을 유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방광암 세포에서는 생쥐 유래 세포주인 MBT-2 세포보다 사람유래 세포주인 HT1376에서 캡사이신 농도가 높아 효과가 다름이 확인됐는데 현재 이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중이다.   캡사이신은 실험대상 암세포에서 모두 효과를 보였으나 그 신호전달 경로는 서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런 연구결과에 비춰볼때 캡사이신은 항암물질로 충분한 가치를 가지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것으로 생각된다.

숨김
(Studies have shown that spicy chili peppers have excellent gastric mucosa protection and anti-cancer effects. Seo Young-joon,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Pharmacy, said at a national conference held by Yeungnam University's Jangryu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theme of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and Scientificization of Red Pepper Paste" on Thursday, "Administration of red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a spicy ingredient, showe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gastric mucosa damage, which is comparable to simethidine, an existing ulcer treatment." This reverses the public's perception that consuming spicy provocative food damages the gastric mucosa, which causes chronic gastritis and stomach cancer. Professor Kim Jeong-ae of Yeungnam University of Pharmacy also explained the anticancer effect on the day, saying, "Capsaicin has been found to induce cell death in human nerve cancer, liver cancer, and bladder cancer." The two professors' research contents were summarized on the day announced. ◇ Inhibition of carcinogenesis of capsaicin in red pepper - Professor Seo Young-jo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Pharmacy - While it is known that spicy ingredient in red pepper damages gastric mucosa and causes gastritis, high-dose intake is foun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gastric ulcers and have therapeutic effects. It was confirmed that administration of red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to rats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damage to the gastric mucosa induced by aspirin or alcohol. Although it is an animal experiment, the effect is comparable to that of cimetidine, an ulcerative treatment. In Singapore, Malaysia, and India, where pepper consumption is relatively high, the incidence of gastric and colon cancer is remarkably low, which is presumed to be due to capsaicin promoting gastrointestinal movement and protecting the gastric mucosa. In Mexico, pepper consumption is high, but the incidence of gastric cancer is relatively low.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conducted by this laboratory, capsaicin has an anticancer effect that inhibits mutations in nitrosoamine, a representative carcinogen produced in the stomach, and induces suicide of cancer cells. Recent studies have also reported that peppers and capsaicin can be used as carcinogens or anticancer drug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should be reconsidered that consumption of spicy food is closely related to the high incidence of gastric cancer in Koreans, and rather, the function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peppers should be investigated through a scientific method. ◇Capsaicin's Cancer Cell Death Effect - Professor Kim Jeong-ae of Youngnam Pharmaceutical University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possibility that capsaicin in peppers, which has been consumed for a long time, can act as a carcinogen, but the results of recent clinical studies have been the opposite.   Therefore, this laboratory conducted experiments on the effect of capsaicin in inducing cancer cell death in several cancer cells. Capsaicin induced dea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human glial cancer and nerve cancer cells. In addition, HepG2, a cancer cell line with liver cancer in many Koreans, also showed a killing effect, which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capsaicin induces an increase in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which induces the activity

of the cell membrane NADPH oxidase and the expression of COX-2. In bladder cancer cell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different in the human-derived cell line HT1376 than the mouse-derived cell line MBT-2 cells, but research is currently underway to reveal the effect. Capsaicin was effective in all cancer cells under the experiment, but it was found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pathway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light of these research results, capsaicin has sufficient value as an anticancer substance, and research on this is needed.

Hiding)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21. 덕목과 생의 목표

덕목(德目)과 생의 목표(目標)♡ 좋은 사람은 외롭지 않고, 어진 사람은 항상 즐겁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남을 도우면 자기 자신(自身)도 이롭게 되어 변함없이 행복(幸福)을 누릴 수 있습니다. 토끼를 잡을 땐, 귀를 잡고, 닭을 잡을 땐, 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