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24일 금요일

28. 폭염 시 건강 관리

폭염 시 행동 요령은 이러하다.  33도에는 폭염 주의보, 35도 이상일 때는 폭염 경보가 발령된다. 올 해  여름에는 40도에 가까운 폭염이 예상된다고 한다. TV, 인터넷, 라디오  등을 통해  무더위 기상 상황을 수시로 확인한다. 오후 2시부터  5시에는 야외 활동을 피한다. 냉방기기 사용 시에는 실 내와 실외 온도 차를 5도 내외로 유지한다. 적정  실내 냉방 온도는 26도~28도이다.  현기증, 메시꺼움,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느껴지면 시원한 장소로 이동한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음식은 완전히 식혀서 먹는다. 폭염시에는 정맥이나 모세혈관이 좁아진다. 즉시 찬 물을 먹거나 샤워를 하면 뇌졸중 이나 신체마비를 이르킬 수 있다.외출 후 샤워를 할 경우 반드시 30분 후에 해야한다. 헐렁하고 밝은 색의 가벼운 옷을 입어야 한다. 외출할 때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양산, 모자, 선글라스 등을 사용해야 한다. 따뜻한 물이나 상온수를 자주 마신다. 차가운 물이나 얼음은 피하는 것이 좋다. 차가운  물을 마시면 모세혈관이 터지거나 폭발할 수 있다.  금년 여름은 매우 심한 폭염이 예보되고 있다. 올바르게 대비하여 건강한 여름나기를 하자. 경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This is how to behave in a heat wave.  A heat wave warning is issued at 33 degrees Celsius and a heat wave warning is issued at 35 degrees Celsius or higher. A heat wave of nearly 40 degrees is expected this summer. Check the weather conditions of the heat wave from time to time through TV, the Internet, and radio. Avoid outdoor activities from 2 p.m. to 5 p.m. When using an air conditioner, keep th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s at around 5 degrees. The appropriate indoor cooling temperature is 26 to 28 degrees.  If you feel mild symptoms such as dizziness, messiness, and headache, move to a cool place. To prevent food poisoning, food is cooled completely. During a heat wave, veins or capillaries narrow. Immediately drinking cold water or taking a shower can lead to stroke or physical paralysis.If you take a shower after going out, you must do it after 30 minutes. You should wear loose, light-colored clothes. When you go out, you should use parasols, hats, and sunglasses with UV protection. Drink warm water or room temperature water often. It's better to avoid cold water or ice. Drinking cold water can cause capillaries to burst or explode.  A very severe heat

wave is forecast this summer. Let's prepare properly and have a healthy summer. Thank you for listening.)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23. 안구 건조증 예방

건강 TIP] 겨울철 안구건조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추운 겨울철에는 난방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건조해지면서 안구건조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눈이 뻑뻑하고 시야가 흐려지거나 피로감이 느껴진다면 안구건조증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장기간 방치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