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8일 목요일

507. 아들아, 나를 제발 개처럼 대해다오.

아들아, 나를 제발 개처럼 대해다오

“제발 나를 개처럼만 대해 다오.”
요즘 어르신들 사이에서 퍼져가는 이 말은 그냥 웃어넘길 농담이 아니다. 오늘날 우리 현실에 대한 절규다.

최근 한 80대 노인이 숨진 채 발견됐다. 자식들은 “병원에 맡기자니 돈이 들고, 집에 두자니 귀찮다”며 냉장고에 음식을 채워둔 채 어머니를 홀로 놔두고 몇 주간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노모는 기력이 다해 쓰러졌고 아무도 돌보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자식들은 강아지를 위해서는 고급 사료와 수제 간식을 정기적으로 배달시켜 두었다. 개는 살았고 어머니는 죽었다.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좁은 방에 오랜기간 방치한 자식도 있다. 그런데 같은 집의 반려견은 하루 세 번 산책을 나가고, 반려견 미용실에 정기적으로 데려가 털을 손질받았다. 부모는 방치하는 사람이 개에게는 온갖 정성을 쏟는다. 경로사상(敬老思想)은 사라지고 경견문화(敬犬文化)가 생겼다.

요즘 반려견 생일파티가 유행이다. 전용 케이크를 주문하고 파티 모자를 씌우고 꽃다발과 선물까지 준비한다. 반려동물 보험, 유전자 검사, 명상 음악, 전용 마사지숍까지 있다. 고급 애견 호텔은 하루 숙박료가 수십만원에 이르며 ‘반려견 전용 수영장’도 있다. SNS에는 '우리 가족'이라며 강아지 사진이 넘쳐난다. 개에게 고급모자를 씌우고 선글라스까지 쓴 사진도 올라온다.

개를 사랑하는걸 탓할 일은 아니다. 험난한 세상을 살아가는데 반려견만큼 위로를 주는 존재가 어디있겠는가?
문제는 나이든 부모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진 것이다. 자식이 결혼하여 분가를 하고나면 그 순간부터 부모의 관심서열이 개만도 못하게 된다. 가끔씩 전화하고 명절때 찾아가다가 나이가 더 들면 요양원으로 보낸다.

요양원에서 실장으로 오래 근무한 사람에게 들은 말이 있다. 요양원에 부모를 보내고 나면 처음에는 매주 찾아오다가 그 다음 해에는 한달에 한번 찾아오고 그다음 해부터는 명절에만 찾아온다는 것이다. 결국 늙은 부모는 오지않는 자식을 한없이 기다리다가 세상을 떠나고 만다. 이것이 현대판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사이클이라는 것이다.

부모를 끝까지 모시고 살아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개를 위하는 마음의 '반의 반' 만이라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개에게 쏟는 비용의 반만이라도 부모님 챙기는데 쓰는게 인간의 도리아닌가? 개에게는 명품 옷을 입히고 부모에게는 싸구려 옷을 입히는 사람도 많다. 이를 보는 부모의 마음은 어떨까. 애지중지 키워낸 자식이 부모보다 개에게 정성을 쏟고 있으니 이를 바라보는 심정은 씁쓸함을 넘어 애통할 수 밖에 없다.

주말이라 동네 공원을 산책하다보니 그야말로 개들의 천국이다. 온갖 치장을 한 개들이 주인을 끌고 다니고 있다. 고급 개모차에 개를 태우고 가족이 졸졸 따라다니는 모습도 보인다. 개를 소중히 안은 젊은 엄마가 앞서가고 그 뒤에 아들 딸과 남편이 따라가는 모습도 보인다. 이게 현대판 가족서열이다. 공원벤치에서 노인 몇분이 앉아서 물끄러미 이런 모습을 보고 있다.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노인천국을 바라는게 아니다. 노인을 특별히 우대해 달라는게 아니다. 경로사상이 사라진걸 탓하는 것도 아니다. 그냥 가족으로 여겨달라는 것 뿐이다. 부모가 자식에게 쏟은 정성의 만분의 일만 돌려주면 되는 일이다. 자식들에게 차마 말하진 못하지만 속으로 외치는 어르신들의 아우성이 있다.

"아들아, 나를 제발 개처럼 대해 다오"

윤은기
경영학박사
한국협업발전포럼 회장
중앙공무원교육원장(24대)
(Please treat me like a dog, son

"Please treat me like a dog."
These words, which are spreading among the elderly these days, are not a joke that should be laughed off. They are screams for our reality today.

Recently, an 80-year-old man was found dead. The children left their mother alone in the refrigerator for weeks, saying, "It costs money to leave it at the hospital, and it's annoying to leave it at home." Eventually, the mother collapsed due to exhaustion and passed away because no one cared for her.
However, the children regularly delivered high-quality food and handmade snacks for the dog. The dog lived and the mother died.

One child leaves his father with dementia unattended in a small room for a long time. A dog from the same house went for a walk three times a day and was taken to a dog salon on a regular basis to get his or her hair done. A person who neglects his or her parents puts all of his or her heart into a dog. The idea of "敬老思想" has disappeared, and a culture of "敬犬" has emerged.

Recently, pet birthday parties are all the rage. They order cakes, wear party hats, and even prepare bouquets and gifts. Pet insurance, genetic testing, meditation music, and even a massage shop are available. Luxury dog hotels charge hundreds of thousands of won (hundreds of thousands of won) per night and even have a dog swimming pool. SNS is full of pictures of dogs calling them "our family." There are also pictures of dogs wearing high-end hats and sunglasses.

You can't blame someone for loving a dog. What is more comforting than a dog in a rough world?
The problem is that the attitude toward older parents has changed. After a child gets married and separates, the parents' level of interest is less than that moment. Sometimes I call and visit them during the holidays, and when I get older, I send them to a nursing home.

I heard something from a person who has worked as a head of a nursing home for a long time. After sending a parent to a nursing home, they come first every week, then once a month in the following year, and from the following year, they come only for holidays. Eventually, old parents die after waiting indefinitely for their children who do not come. This is the modern-day cycle of life-long 老病.

This is not to say that you should take care of your parents to the end. You should pay attention to half of your heart for dogs. Isn't it human's duty to spend even half of what you spend on dogs to take care of their parents? Many people dress dogs in luxury clothes and their parents in cheap clothes. How would parents feel when they see this? Since the child they raised is giving more care to dogs than their parents, their feelings cannot help but be sad.

It is truly a dog's paradise when I take a walk in the local park because it is the weekend. Dogs dressed up in all kinds of costumes are dragging their owners around. You can also see the family following the dog in a luxury dog car. A young mother who cherishes the dog leads the way, followed by her son, daughter, and husband. This is the modern family sequence. At the park bench, a few elderly people are sitting and watching this. What are they thinking?

I'm not asking for a special favor for the elderly. I'm not asking for special treatment for the elderly.

I'm not blaming the disappearance of the elderly ideology. I'm just asking you to consider them as family. It's all you have to do is return one-thousandth of the sincerity that parents put into their children. There are cries of senior citizens who can't tell their children, but they are shouting to themselves.

"Son, please treat me like a dog."

Yun Eun-ki
a doct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airman of the Korea Collaborative Development Forum
Director of the Central Public Service Training Center (24th))

댓글 없음:

댓글 쓰기

507. 아들아, 나를 제발 개처럼 대해다오.

아들아, 나를 제발 개처럼 대해다오 “제발 나를 개처럼만 대해 다오.” 요즘 어르신들 사이에서 퍼져가는 이 말은 그냥 웃어넘길 농담이 아니다. 오늘날 우리 현실에 대한 절규다. 최근 한 80대 노인이 숨진 채 발견됐다. 자식들은 “병원에 맡기자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