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락(獨樂)
늙는다는 것은 분명 서러운 일이다.
늙었지만 손끝에 일이 있으면 그런대로 견딜 만하다.
쥐고 있던 일거리를 놓고 뒷방 구석으로 쓸쓸하게 밀려나는 현상을 ‘은퇴’라는 
고급스런 낱말로 포장하지만, 뒤집어 보면 처절한 고독과 단절이 그 속에 
숨어 있다. 그래서 은퇴는 더 서러운 것이다.
방콕이란 단어가 은퇴자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다.
세간에서는 그들을 화백(화려한 백수), 불백(불쌍한 백수), 마포불백
(마누라도 포기한 불쌍한 백수) 등으로 나누고 있다.
화백이든 불백이든 간에 마음 밑바닥으로 흐르는 깊은 강의 원류는
‘눈물 나도록 외롭다.’ 는 사실을 한 치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화백도 골프 가방을 메고 나설 때 화려할 뿐이지,
집으로 돌아오면 심적 공황상태인 방콕을 면치 못한다.
집단에 소속되지 못하고 지속적인 노동의 즐거움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어제 진 태양은 오늘 다시 떠오르지만, 은퇴자들은 어제도, 오늘도 갈 곳이 없다.
이럴 때마다 다산 선생의 '독립'이란 시를 기억하며 혼자 웃는다.
'대지팡이 짚고 절간에나 노닐까 생각다가 그냥 두고 
작은 배로 낙시터나 가볼까 생각하네.
아무리 생각해도 몸은 이미 늙었는데,
작은 등불만 예정대로 책 더미에 비추네.'
곰곰히 생각해보면 방콕이 독락(獨樂)으로 가는 지름길이 아닌가 생각된다.
영화나 책을 둘이 나란히 앉아서 본다고 두 사람이 함께 보는 것인가.
아니다. 나는 내 것을 보고 너는 네 것을 볼 뿐이다.
그래서 생애도 혼자서, 죽음도 홀로 맞는 것이다.
모든 위대한 것들은 모두 홀로이다. 태양이 그렇고, 하느님이 그러하다.
태양에 암수가 없고, 아버지 하느님과 어머니 하느님이 함께 계신 것이 아니다.
온리 원(Only one)이란 고독이 얼마나 위대한 존재인가를 알게 해준다.
경주 안강의 자옥산 기슭으로 낙향한 회재 이언적 선생도 독락당을 짓고 
인고의 7년세월을 외로움과 함께 버텨냈다.
사무치도록 외로웠기 때문에 담을 헐어낸 자리에 살창을 끼워 계곡의 
물소리를 눈으로 들으면서 세월을 보냈다고 한다.
조선조 초의 학자 권근의 '독락당기'를 보면 홀로의 즐거움이 일목요연하다.
'봄꽃과 가을달을 보면 즐길만한 것이지만,
꽃과 달이 나와 함께 즐겨주지 않네.
눈 덮힌 소나무와 반가운 빗소리도 
나와 함께 즐기지 못하니 독락이라 해야 하지 않을까. 
글과 시도 혼자 보는 것이며,
술도 혼자 마시는 것이어서 독락이네...'
옛 선비들의 독락에는 다분히 풍류적인 즐거움이 서려 있지만, 오늘의 
백수들이 곧잘 읊조리는 방콕에는 궁상과 자탄이 한숨처럼 배어 있다.
강산과 풍월은 원래 주인이 없고, 한가로운 사람이 바로 주인이라고 했다.
홀로 독락을 못 즐길 양이면 풍월의 주인이라도 될 일이다. 
풍월주인은 정년도 없고 은퇴도 없다.
'문밖 나서니 갈 곳이 없네' 란 말은 입 밖에도 내지 말자.
친구들이여!
오늘도 힘 내시고 막걸리 한 잔에 월하독작(月下獨酌)하면서 후년의 세월 더 즐겁고 행복한 모습으로 늙어갈 수 있도록 '낭만 결기'일랑 잃지 말아야 겠습니다.
(a 獨
Being old is certainly a sad thing.
I'm old, but if I have work at my fingertips, I can bear it.
The phenomenon of being pushed to the corner of the back room forlornly over the work you were holding is called "retirement." 
It's wrapped in luxurious words, but if you turn it upside down, there's desperate solitude and disconnection in it 
It's hiding. That's why retirement is more sad.
The word Bangkok is in vogue among retirees.
The world calls them a painter (flamboyant unemployed), a Bulbaek (plagued unemployed), and a Mapo Bulbaek (plagued unemployed)
(Poor unemployed who gave up even his wife) etc.
Whether it's an artist or a Buddha, the origin of a deep river flowing to the bottom of your mind
I can't escape the fact that I'm lonely to the point of tears.
Painters are just fancy when they wear golf bags,
When I come back home, I can't avoid Bangkok, which is a mental panic.
This is because they did not belong to the group and lost the joy of continuous labor.
Yesterday's sun rises again today, but retirees have nowhere to go yesterday or today.
Whenever this happens, I remember Dasan's poem "Independence" and laugh alone.
"I was thinking about playing in the temple with a stick, but I left it 
I'm thinking of going to the naxiter on a small boat.
No matter how much I think about it, my body is already old,
Only a small lamp shines on the pile of books as scheduled.'
If you think about it carefully, I think Bangkok is the shortcut to 獨.
Are the two people watching a movie or a book together while sitting side by side.
No. I look at mine and you just look at yours.
That's why life and death are all alone.
All great things are alone. So is the sun, and so is God.
There are no male and female in the sun, and father God and mother God are not together.
Only one allows us to see how great solitude is.
Hoijae Lee Eon-jeok, who headed to the foot of Jaoksan Mountain in Angang, Gyeongju, also built Doknakdang 
Ingo endured seven years of loneliness.
I was very lonely, so I put the sole in the place where the wall was torn down 
It is said that he spent the years listening to the sound of water with his eyes.
Looking at the scholar Kwon Geun's "Dokrakdangg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joy of being alone is evident.
"It's something to enjoy when you look at the spring flowers and the autumn moon,
Flowers and the moon don't enjoy it with me.
The sound of the snow covered pine trees and the welcome rain 
Since you can't enjoy it with me, shouldn't you call it dokrak. 
Writing and poetry are all about watching alone,
"It's hard to drink alone..."
There is a lot of folktales in the literary works of the old scholars, but today's 
In Bangkok, where 
unemployed people often recite, sorrow and self-deprecation are imbued like sighs.
Gangsan and Pungwol originally had no owners, and it was said that the leisurely person was the owner.
If you can't enjoy reading alone, you'll be the owner of Pungwol. 
The owner of the Pungwol has no retirement age and no retirement.
Let's not just say, "There's nowhere to go out the door."
Friends!
Cheer up today, and I will not lose my romance so that I can grow old in a more enjoyable and happy way in the years to come by 獨酌 with a glass of makgeolli.)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