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4일 일요일

435. 삶의 기준과 내면의 형평

산다는 건 그런 거다 – 삶의 기준과 내면의 평형>

산다는 건 그런 것이다.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반복되고,
즐거움과 괴로움이 교차한다.

희망에 가슴이 벅차오르다가도,
어느새 절망의 그림자에 눌려 주저앉기도 한다.

그렇기에 삶은 결코 단조로운 직선이 아니라,
굽이치고 흔들리는 곡선이다.

그러나 그 굴곡진 인생의 여정에서
우리를 지탱해주는 것은
외부의 조건이 아니라
내면의 가치와 기준이다.

"어디에 눈높이를 두느냐"는 물음은
삶의 방향키를 누구의 손에 쥐게 할 것인가 하는
가장 본질적인 질문이다.

오늘날 우리는 비교와 속도의 시대에 살고 있다.
타인의 성공이 곧 내 실패처럼 느껴지고,
소유와 성취가 삶의 전부인 양
매 순간 조급해진다.

하지만 진정한 삶의 평형은
타인의 시선이 아니라
자기 마음의 눈높이에 맞출 때 찾아온다.

불교에서 말하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즉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는 가르침은
나이가 들수록 깊이 다가온다.

같은 상황, 같은 환경에서도
누군가는 평안을 누리고
누군가는 분노와 좌절에 갇힌다.

결국 세계는 내가 해석하는 만큼만
존재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인생의 경륜 속에서 배운다.

그렇기에 가능한 한
내일을 밝게 바라보자.
비관보다 낙관이 더 많은 가능성을 품고 있고,
절망보다는 희망이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든다.

물론 현실은 늘 우리의 뜻과 다르게 흘러간다.
하지만 현실을 받아들이고 겸허해지는 태도는
그 어떤 지식보다 깊고 단단한 지혜다.

삶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살아내야 하는 것이다.
살아있는 한, 움직이고,
움직이는 한, 노력하자.

노력은 결과보다 더 소중한 ‘의미’를 만든다.
그 의미가 바로,
우리가 인생의 풍랑 속에서도
자신을 잃지 않고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
등불이 된다.

산다는 건 그런 거다.
슬픔과 기쁨이 교차하는 길 위에서
오늘도 자신만의 기준을 따라
한 걸음, 한 걸음
묵묵히 나아가는 것.
그것이 바로 살아 있다는 것의
가장 인간적인 정의다.
(That's what living is like - the standard of life and inner balance >

That's what living is like.
Good and bad things repeat themselves,
Pleasure intersects with distress.

Even though my heart was full of hope,
Before you know it, you fall down under the shadow of despair.

So life is never a monotonous straight line,
It's a curve that bends and wobbles.

But on that curved journey of life
The thing that supports us is
It's not an external condition
It's inner values and standards.

"Where do you put your eye level?"
I'm going to decide who's going to hold the arrow key in my life
It is the most essential question.

Today we live in an age of comparison and speed.
The success of others feels like my failure,
possession and achievement are everything in life
Every moment I get impatient.

But the real equilibrium of life is
It's not someone else's view
It comes when it meets the eye level of one's mind.

In Buddhism, the all-you-sim-jo (one 切唯 heart 造),
In other words, the teaching that "everything is made up only by the heart"
The older you get, the deeper you come.

Even in the same situation, in the same environment
Someone's in peace
Someone is trapped in anger and frustration.

In the end, the world is only as good as I interpret it
the fact that it exists
We learn in the experience of life.

So, as much as possible
Let's look at tomorrow brightly.
Optimism has more possibilities than pessimism,
Hope creates more energy than despair.

Of course, reality always flows differently from our will.
But the attitude of accepting reality and being humble
It is wisdom deeper and stronger than any other knowledge.

Life is not given,
It's something you have to survive.
As long as he's alive, he's moving,
As long as we move, let's try.


Effort creates a 'meaning' that is more precious than the result.
That's what it means,
Even in the midst of our life
It allows you to live without losing yourself
It becomes a beacon.

That's what living is like.
On the road where sadness and joy intersect
Today, I'm going to follow my own standards
step by step
moving forward silently.
That's what's alive
It's the most human justice.)

댓글 없음:

댓글 쓰기

553. 강남 제일병원 원장 최낙원 박사 실화

강남제일병원장 최낙원 박사의 실화! 자신을 한번쯤 되돌아 볼 수 있는 감동 스토리 입니다. 1960년대 겨울, 서울 인왕산 자락엔 세칸 초가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가난에 찌든 사람들이 그날그날 목숨을 이어가고 있었습니다.  이 빈촌 어귀에 길갓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