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7일 금요일

207. 확증 편향

확증편향(確證偏向)🐮

'확증편향' 이라는 심리학 용어가 있는데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 경향이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확증편향'은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 그리고 판단 따위와 부합되는 정보에만 주목하고 그 외의 정보는 무시하는 사고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커피를 좋아 하는 사람들은 '하루 세 잔의 커피는 장수에 도움이 된다' 는 기사를 믿지만, 커피에 있는 카페인이 교감 신경에 미치는 부작용에 관한 기사는 무시하려고 합니다.

정치하는 사람들을 보면 A 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A 당에 우호적인 기사를 찾아서 읽고, 그 내용에 동의하지만, A 당에 반대하는 기사나 주장들은 받아 들이려고 하지 않고, B 당을 지지하는 사람은 그 반대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이 옳다고 믿고 있는 것을 확인해 주는 정보만 찾고, 자신이 좋아 하는 이론이나 설명을 강화시켜 주는 사실 만을 받아 들입니다.

이런 '확증편향' 이 강한 사람일수록 자신들의 잘못을 고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자신들이 믿고 있는게 진리라고 생각합니다.

'확증편향' 은 마케팅 분야에서는 유용한 분석 도구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지난 날, 한 번쯤 들어 본 것에 마음이 끌리는 경향이 있는데 이의 대표적 사례가 광고나 브랜드입니다.

기업들은 항상 잘 팔리는 제품도 지속적으로 광고를 계속하는 것을 쉽게 보게 되는데 '코카콜라'를 보십시오. 코카 콜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탄산 음료 인데도 끊임없이 새롭고, 흥미로운 광고를 만들어 내는데 그것은 소비자들에게 각인시켜서 익히 잘 알고 있는 상품이라는 인식을 심어 주기 위해서 입니다.

그러면 소비자들은 맛이 뛰어 나서 코카 콜라를 선택하는 것 보다는 눈과 귀에 익숙하기 때문에 그 상품을 선택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이렇게 한 번 각인되면 사람들은 다른 좋은 선택지가 보여도 쉽게 바꾸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사상은 쉽게 바꾸기 어렵고, 잘못 된 것까지도 고치기가 어렵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입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합니다.

미국의 한 연구소에서 실험한 결과인데 뉴욕시에 있는 어느 지하철 역에서 한 장의 사진을 찍었는데 사진에는 두 명의 남자가 서 있었는데 한 명은 백인이고, 다른 한 명은 흑인이었고, 두 명 중 한 명은 양복 차림, 다른 한 사람은 작업복 차림이었습니다.

한 사람은 칼을 들고 위협하고 있었고, 다른 한 사람은 겁에 질려 칼든 사람에게 돈을 꺼내 주고 있었습니다. 그 사진 내용을 위와 같이 설명한 후 두 사람의 신분에 대해서 기록하라고 했는데 설문지의 결과가 대단히 놀라웠습니다.

중산층 백인들의 응답은 모두 같았는데 칼을 들고서 상대방을 위협하며 돈을 뺏는 강도는 흑인 노동자이고, 돈을 건네 주는 사람은 백인이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나 응답이 끝나고 사진을 공개했는데 그 사진을 본 백인들은 자신의 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 사진은 자신들이 응답한 내용과 달랐기 때문입니다.

말끔한 정장 차림의 양복을 입은 회사 중역은 흑인이었고, 작업복 차림으로 칼을 들고 돈을 뺏는 강도는 백인이었기 때문입니다.

백인들의 머리 속에는 흑인은 가난하고, 불량한 사람이지만 백인은 돈 많고, 선량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깊이 자리 잡고 있어서 그들의 마음 뿐만 아니라 눈에 비친 시각까지도 잘못 보게 한 것입니다.

그래서 인간의 마음 속에는 선입관이나 확증편향으로 가득하다는 것입니다.

내가 보고 아는 것은 태평양 바다의 물 한 방울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과 보이는 것 보다 보이지 않는 즉, 못 보는 세계가 훨씬 더 무한하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겸손한 마음으로 우리의 무지나 부족함을 인정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특히, 보이는 것이 모두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고 유념하라고 했습니다. 보이지 않는 영원한 것을 바라보며 살아 가는 현명하고 지혜로운 인생으로 살아 가시기 바랍니다.
(Confirmatory bias (確證偏向) 🐮

There is a psychological term called "confirmation bias," which refers to a person's tendency to see only what he wants to see, hear only what he wants to hear, and believe only what he wants to believe. "confirmation bias" is a way of thinking that focuses only on information that matches one's values, beliefs, and judgments, and ignores other information.

For example, coffee lovers believe in the article "Three cups of coffee a day helps to live longer," but they try to ignore the article about the side effects of caffeine in coffee on sympathetic nerves.

If you look at the politicians, those who support Party A find and read articles that are friendly to Party A and agree with the content, but they don't try to accept articles or arguments against Party A, and those who support Party B are the opposite.

So people only look for information that confirms what they believe is right, and they only accept facts that reinforce their favorite theories or explanations.

The stronger this "confirmation bias," the more true they are, rather than trying to correct their mistakes.

Confirmation bias is also used as a useful analysis tool in the marketing field. People tend to be attracted to what they have heard at least once in the past, such as advertisements and brands.

It's easy for businesses to see the consistent advertising of products that always sell well, so look at Coca-Cola. Even though Coca-Cola is the world's best-selling soft drink, it constantly produces new and interesting advertisements to impress consumers and give them a good impression that it is a well-known product.

The fact is that consumers then choose the product because they are used to their eyes and ears rather than choosing Coca-Cola because it tastes so good.

Once imprinted like this, people don't change it easily even if they see other good options. That's why it's hard to change a person's thoughts and ideas easily, and it's hard to correct even the wrong ones. In fact, most people are not free from prejudice.

It was an experiment at a lab in the U.S. and I took a picture at a subway station in New York City, where two men were standing, one white, the other black, one in a suit and the other in a work suit.

One person was threatening with a knife, and the other was frightened and taking out money to the knife. After explaining the photo as above, I asked them to record their identities,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very surprising.

All middle-class white people responded the same, saying that the robber who threatened the other person with a knife and took money was a black worker, and the person who handed over the money was a white man.

However, when the responses were finished and the photos were released, the white people who saw them couldn't help but doubt their eyes because the photos were different from what they responded to.

Because the company executive in a clean suit was black, and the robber who took money with a knife in his work clothes was white.

The idea that black people are poor and bad people, but white people are rich and good people is deeply

entrenched in white people's minds, making them misread not only their minds but also their visible perspectives.

That's why the human mind is full of preconceived notions or confirmatory biases.

What I see and know is that it is less than a drop of water in the Pacific Ocean, and that the invisible, the invisible world, is much more infinite than it seems.

Therefore, we must acknowledge our ignorance or lack with humility and listen to other people's opinions or arguments.

In particular, he told me to remember and keep in mind that what I see is not everyone. Please live a wise and wise life, looking at the invisible and eternal.)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21. 덕목과 생의 목표

덕목(德目)과 생의 목표(目標)♡ 좋은 사람은 외롭지 않고, 어진 사람은 항상 즐겁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남을 도우면 자기 자신(自身)도 이롭게 되어 변함없이 행복(幸福)을 누릴 수 있습니다. 토끼를 잡을 땐, 귀를 잡고, 닭을 잡을 땐, 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