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살의 비결-
젊은 세포와 늙은 세포에 동일한 자극을 줬다.
자외선도 쏘이고, 화학물질 처리도 했다.
저강도(低强度) 자극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고강도(高强度) 자극을 하자 예상과는 반대의 결과였다.
고강도 자극에서 젊은 세포는 반응하다 죽었지만, 늙은 세포는 죽지 않았다.
2년 이상 같은 실험을 했다. 결과는 같았다.
그래서 내린 결론이 ‘노화(老化)는 증식(增殖)을 포기(抛棄)한 대신, 생존(生存)을 추구(追求)한다’ 였다.
평생 노화를 연구해 온 박상철(朴相哲; 1949~ ) 전남대 석좌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보고 노화에 대한 인식을 확 바꿨다.
“노화는 죽기 위한 과정이 아니라 살아남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과정입니다.”
박 교수가 노화과정을 긍정적으로 보고, 당당하게 늙음을 맞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이다.
생명은 죽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라, 살기 위해 태어난 존재이기 때문이다.
최근 서울 인사동의 한 카페에서 박 교수를 만났다.
‘장수의 비밀을 아는 사나이’라는 별명을 가진 박 교수는 세계적인 장수 과학자이다.
최근 한 세미나에서 박 교수는 ‘늙지 않고, 아프지 않기 위한 먹거리’에 대해 이야기했다.
10년 이상 한국과 세계의 백세인들을 직접 만나며 그들의 식습관을 관찰한 박 교수는 한국 특유의 장수 먹거리를 찾아 냈다고 한다.
현대판 불로초인 셈이다.
○ 그 첫번째 불로초가 바로 들깻잎이었다.
국내 최고 장수지역인 구례, 곡성, 순창, 담양 등의 장수마을 주민들의 들깻잎 소비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많았다.
이들 주민은 들깻잎을 날로 먹거나 절여 먹었다. 들깻잎의 효용을 분석했다.
“들깨가 오메가3 지방산의 주요 공급원 역할을 했어요.
들기름에 나물을 무치고, 전을 지지고, 들깻잎을 날로, 혹은 된장이나 간장에 절여 드셨어요.
들깻가루는 추어탕 등에 듬뿍 넣어 드시더군요.”
고등어, 연어 등에 많은 오메가3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으로 필수적인 장수 영양소이다.
○ 두번째 한식에서 찾아낸 불로 식품이 된장, 간장, 청국장, 김치 등의 발효식품이었다.
“육식하지 않으면 비타민 B12가 부족 합니다.
이 영양분은 조혈 기능뿐 아니라 뇌 신경 기능 퇴화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백세인의 혈중 비타민 B12 농도는 정상이었고, 육류를 주식으로 하는 서양인들 보다 높게 나왔어요.”
어찌 된 일일까?
박 교수는 연구 결과 원재료인 콩이나 두부, 야채 상태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던 비타민 B12가 발효과정에서 생성된다는 것을 알았다.
박 교수는 우리 민족의 전통식단이 바로 한류 케이-다이어트(K-diet)의 핵심이라고 한다.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장수 식단으로 알려진 지중해 식단에서는 올리브 오일을 많이 먹고, 그린란드 식단에서는 생선(오메가3)을 많이 먹는다.
한국의 장수 식단은 채소도 신선한 형태가 아닌 데치거나 무쳐 먹는데 이런 조리 과정을 통해 장수에 도움되는 영양분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서울대 의대에서 생화학을 전공한 박 교수가 노화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서울 한복판에 있는 탑골 공원에서 노인들이 무료 급식하는 점심을 먹기 위해 길게 줄 서 있는 것을 본 뒤였다.
무력해 보였다. 그래서 노인들에게 무료로 요리법을 가르치고, 식단도 개발했다.
당당한 노년을 위한 처방이었다. 자립하고 독립하는 길이기도 했다.
“요리를 배운 노인들은 한결같이 요리가 이렇게 쉬운 줄 몰랐다고 이야기했어요.
물론 간단한 요리이지만 한 번도 주방일을 하지 않았던 노인들에겐 새로운 경험이었죠.”
건강한 장수를 위해선 움직이라고 박 교수는 강조한다.
선진국 백세인의 남녀 비율은 1:4~1:7로 여성이 많은데, 한국은 1:10으로 현격히 여성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 남성이 유난히 몸을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박 교수는 진단한다.
♦ 당당한 노년을 위한 골드인생 3원칙
○ 그 첫째는 ‘하자(to do)’ 입니다.
뭐든지 하면서 노년을 보내야 한다는 것이다.
장수인들의 특징은 늘 뭐든지 한다고 했다.
나이가 들었다고 움츠리지 말고 적극적으로 자신이 좋아하고, 할 수 있는 것을 찾아야 한단다.
○ 두 번째는 ‘주자(to give)’이다.
자신의 능력을 사회에 봉사하고 기부하며 베푸는 것이다.
나이가 먹었다고 받으려 하지 말고 뭔가 주려고 애쓰면 아름답고 당당한 노년이 된다는 것이다.
○ 세 번째 원칙은 ‘배우자(to learn)’이다.
일반적으로 은퇴를 하는 50, 60대를 지나 적어도 30년 이상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하고 살고 싶다면 새로운 사회와 문화, 과학에 대한 배움에 조금의 주저함이나 망설임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잘 살아야 잘 떠날 수 있어요.
두려움 없이 떠나려면 미련이 남지 않게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것이 백세인들 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교훈입니다.”
아무리 말이 좋고 합당하여도 그것을 실행치 않으면 그냥 말이나 글에 불과 하지만,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면 그것은 크나큰 성과를 줍니다.
자신의 머리에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 Germany-USA)의 지식이나 지혜가 있은들 그것을 사용치 못하면 무슨 소용이 있으며, 무식한 자와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100개를 알면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자보다 1개를 알면서 1개를 실행하는 자가 훨씬 똑똑하지 않습니까!
♦ 꼭 실천해야 합니다.
○ 1. 들깻잎 많이 먹자!
○ 2. 발효식품 많이 먹자!
○ 3. 일하자!
○ 4. 가진 것을 나누어 주자!
○ 5. 무엇이든지 배우자!
(오늘 아침에 받은 글)
(The secret of being 100 years old.-
Young and old cells were given the same stimulation.
UV rays were also stung and treated with chemica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low-intensity (低强度) stimulation.
However, when high 强度 stimulation was performed, the result was contrary to expectations.
In high-intensity stimulation, young cells died in response, but old cells did not die.
I did the same experiment for more than two years. The results were the same.
Therefore, the conclusion was that '老 seeks (追求) survival (life 存) instead of giving up (抛棄) proliferation (增殖).'
Park Sang-cheol (哲; born 1949)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o has been studying aging all his life, changed his perception of aging significantly after se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ging is not a process to die, it's a process to do your best to survive."
This is why Professor Park insists on seeing the aging process positively and facing old age proudly.
Because life is not born to die, but to live.
I recently met Professor Park at a cafe in Insa-dong, Seoul.
Nicknamed the "Man Who Knows the Secret of Longevity," Park is a world-renowned longevity scientist.
At a recent seminar, Professor Park talked about "food to not get old and not get sick."
Professor Park, who has met 100 people from Korea and the world in person for more than a decade and observed their eating habits, is said to have found Korea's unique long-lived food.
In other words, it is a modern-day firewood.
○ The first fireweed was perilla leaf.
Residents of Jangsu villages such as Gurye, Gokseong, Sunchang, and Damyang, the nation's highest Jangsuji area, consumed much more perilla leaves than other regions.
These residents ate raw or pickled perilla leaves. The utility of perilla leaves was analyzed.
"Perilla seeds served as a major source of omega-3 fatty acids.
He mixed herbs with perilla oil, made jeon, and pickled perilla leaves with raw or soybean paste or soy sauce.
You put a lot of perilla seed powder in chueotang and so on."
Many omega-3 fatty acids in mackerel, salmon, etc. are essential fatty acids and are essential longevity nutrients.
○ The fire foods found in the second Korean meal were fermented foods such as soybean paste, soy sauce, cheonggukjang, and kimchi.
"If you are not a carnivore, you will lack vitamin B12.
This nutri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brain nerve function degeneration as well as hematopoietic function.
However, the blood vitamin B12 concentration of white people in Korea was normal, and it was higher than that of Westerners who mainly eat meat."
What's going on?
Professor Park found that vitamin B12, which was not found at all in beans, tofu, and vegetables, is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Professor Park says that traditional Korean meals are the core of the Korean Wave K-diet.
Known as the world's leading long-lived diet, people eat a lot of olive oil in the Mediterranean diet, and they eat a lot of fish (Omega3) in the Greenland diet.
Korea's longevity diet is that vegetables are also blanched or seasoned, not in fresh form, and through this cooking process, nutrients helpful for longevity are increased.
Professor Park, who majored in biochemist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became interested in aging after seeing elderly people in a long line for free lunch at Tapgol Park in the middle of Seoul.
It seemed powerless. So I taught the elderly recipes for free, and I also developed a diet.
It was a prescription for a confident old age. It was also a way to become independent and self-reliant.
"The elderly who learned cooking consistently said they didn't know cooking was this easy.
Of course, it's a simple dish, but it was a new experience for the elderly who never worked in the kitchen."
Professor Park emphasizes that you should move for a healthy long life.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developed countries is 1:4 to 1:7, with a large number of women, while Korea has a large number of women at 1:10.
Professor Park diagnoses that this is because Korean men do not move their bodies exceptionally.
♦ 3 gold life principles for a confident old age
○ The first one is 'to do'.
You have to spend your old age doing everything.
The characteristic of long-lived people is that they always do anything.
Don't cringe just because you're old, but actively find what you like and can do.
○ The second is 'to give'.
It is to serve, donate, and give one's abilities to society.
If you try to give something instead of trying to receive it because you are old, you will be a beautiful and confident old age.
○ The third principle is 'to learn'.
In general, if you want to actively participate and live in society for at least 30 years after your 50s and 60s when you retire, you should not have any
hesitation or hesitation in learning new society, culture, and science.
"You have to live well to leave well.
If you want to leave without fear, you have to do your best every day so that you don't have any lingering feelings.
That's the greatest lesson the centenarians give us."
No matter how good or reasonable the words are, if you don't carry it out, it's just words or writings, but if you put it into action, it's a great achievement.
Albert Einstein (1879~1955, Germany-USA) knowledge or wisdom in his head. What good is it if you can't use it, and what's the difference from the ignorant!
Isn't it much smarter to run 1 while knowing 1 than to do nothing while knowing 100!
♦ You must practice it.
○ 1. Let's eat a lot of perilla leaves!
○ 2. Let's eat a lot of fermented food!
○ 3. Let's work!
○ 4. Let's share what we have!
○ 5. Let's learn anything!
(Received this morning))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