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는 귀가 능력이고 행복이다**
삼성창업주고 이병철회장의 아들 이맹희 이창희 이건희 3형제에 대한 일화입니다.
병석에 누운 이병철 회장에게
기자가 질문했습니다.
“왜 3남인 이건희 회장을 후계자로 지명 하셨나요?”
기자의 질문에
이병철 회장은 짧게 대답했습니다.
“건희는 <듣는 귀>가 있어서!”
삼남인 이건희 회장이 장남과 차남을 제치고 삼성의 후계자가 된 이유가 그 것 한 가지 뿐은 아니겠지만 남의 말을 들을 줄 아는 능력이
아버지 이병철 회장에게 인정 받은 것만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가정이나 학교도 마찬가지 입니다.
아내의 말을 들을 줄 아는 사람이
유능한 남편이고, 남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아내가 현명한 아내입니다.
공부 잘하는 학생은 강의 시간에 선생님 말을 잘 듣습니다.
배우자의 말을 잘 듣는 것은
문제와 갈등을 풀어내는 능력을 배양하는 필수 과정입니다.
평화로운 가정, 행복한 가정,
아름다운 인간 관계를 위한 소통은 듣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하고 싶은 말을 다 하는 것보다
상대가 하는 말을 끝까지 듣는 것이 진정한 대화의 능력이고
삶의 기술입니다.
하나님이 귀를 두 개 만드시고
입을 하나 만드신 이유도 두 배로 듣고 절반만 말하라는 뜻이라고 여깁니다.
공자는 말하는 데 3년 걸리지만
듣는 법을 터득한데는 60년 걸린다고 하였습니다.
“경청(傾聽)” 이라는 책이
오랜 기간 동안 베스트셀러가
된 것만 봐도 듣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대답이 좀 늦고 진행이 빠르지 못해도 배우자와 열린 마음으로
천천히 다 듣고 소통하는 방법을
배워가면 가정은 평화롭고 행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프랑스 작가 장자크 상페는
자신의 책 ‘뉴욕 스케치’에서
뉴요커들의 긍정적인 말 버릇을 관찰했습니다.
그들은 빤한 얘기인데도 습관 처럼 상대의 말꼬리에 감탄사(!) 를 붙이고, 물음표(?)를 달아줍 니다.
이는 '내 말에 관심을 갖는다'는
표시로 받아 들여지고, 서로의 삶과 이야기를 격려 해주는 말의 효과를 높입니다.
이를테면, 누가 “이번에 터키를 다녀왔어요. 너무 좋았어요.”라고 말합니다.
그러자 옆에서 “좋은 곳이죠.
나는 두 번 가봤어요.” 이렇게 말을 받으면 일단 주춤하게 됩니다.
이럴 때 뉴요커들은 자기 경험을 내세우지 않고 “정말요? 어머, 좋았겠다!” “일정은 어땠어요?”
말머리를 계속 상대에게 돌려 줍니다.
얼쑤 같은 추임새로
상대를 신나게 해주는, 뉴요커의 말 습관이 좋아 보이는 이유입 니다.
(It's the ability and happiness to hear.**
This is an anecdote about Lee Maeng-hee, Lee Chang-hee, and Lee Kun-hee, the son of Samsung founder Lee Byung-chul.
To Chairman Lee Byung-chul, who is lying in bed
The reporter asked the question.
"Why did you nominate your third son, Chairman Lee Kun-hee as your successor?"
in response to a reporter's question
Chairman Lee Byung-chul responded briefly.
"Keonhee has 'Listening Ears'"
That may not be the only reason why Chairman Lee Kun-hee, the third son, overtook his eldest son and second son to become Samsung's successor, but his ability to listen to others
It seems clear that he was recognized by his father, Chairman Lee Byung-chul.
The same goes for families and schools.
Someone who knows how to listen to his wife
A capable husband, and a wife who listens to him is a wise wife.
Students who are good at studying listen to the teacher well during the lecture.
Listening to one's spouse well
It is an essential proces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conflicts.
A peaceful family, a happy family,
Communication for beautiful human relationships starts with listening.
Rather than saying everything I want to say
Listening to what the other person says is the true ability of conversation
It's the art of life.
God made two ears
I think the reason you made a mouth is to listen twice and say only half.
Confucius takes three years to speak
It takes 60 years to learn how to listen.
"Listen" is a book called 傾聽
For a long time, bestsellers
Just by looking at what's done, you can see that many people sympathize with how important it is to listen.
Even if the answer is a little late and the process isn't fast, with an open mind with your spouse
I'm going to listen to all of them slowly and communicate with them
If you learn, your family will be peaceful and happy.
The French writer Jean-Jacques Szuppe
In his book, "New York Sketch"
I observed the positive speech habits of New Yorkers.
They add exclamations (!) to the other person's words and question marks (?) like a habit, even though it's a plain story.
This means that you're interested in what I'm saying
It is accepted as a sign and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words that encourage each other's lives and stories.
Like, someone says, "I've been to Turkey this time. I loved it."
Then, he said, "It's a good place.
I've been there twice." If you're told like this, you'll slow down for now.
At times like this, New Yorkers don't mention their experiences and say, "Really? Oh, that must have been great!" "How was your schedule?"
Keep returning the horse's head to the opponent.
in an eulsu-like manner
This is why the New Yorker's speech habit, which makes the other person excited, looks good.)
2025년 3월 10일 월요일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368. 손톱은 우리 몸의 작은 거울
손톱은 '우리 몸의 작은 거울'이라고 불린다. 손톱이 있는 부분에는 모세혈관이 많이 모여 있어 혈액 순환과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기 쉬기 때문이다. 그래서 손톱만 봐도 몸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평소와 다르게 손톱의 색이 달라지거나 ...
-
전자레인지' 정말 무서운가? 두 개의 멀쩡한 식물이 있다. 한 쪽에 있는 것은 전자레인지에 끓인 물을 식혀서 10일 동안 준 식물이고, 다른 쪽은 그냥 가스 불에 끓여서 식힌 물을 준 것이다. 👉9일 뒤에, 다음과 같이 변한다. ...
-
착각하지 말자 우리는 노후에 대해서 착각을 합니다. 7대 착각이라고 해서 일곱 가지를 주로 얘기합니다. -첫 번 째,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광고 카피 잘 아시죠?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그 카피를 만드신 분이 젊은 사람이 만들었기 때문...
-
한약'보다 좋은 '무료 건강 비법' 11법 한약만큼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들이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1. 머리를 두들겨라! 손가락 끝으로 약간 아플 정도로 머리 이곳 저곳을 두들기는 겁니다. 두피가 자극되어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