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브러햄 링컨이 미국 대통령이 됐을 때 친한 친구가 주변 사람 한 명을 천거했다. 새 내각에 적임자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를 만나본 링컨은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그 일로 서운했던 친구가 나중에 왜 그 사람을 발탁하지 않았는지 링컨에게 물었다. 둘이 나눈 대화다.
“그 사람 얼굴이 마음에 들지 않았네.”(링컨) “이보게, 얼굴이 어디 그 사람 탓인가? 부모가 준 대로 타고나는 것인데 그런 이유로 유능한 사람을 쓰지 않는다니 말이 되는가?”(친구) “어릴 때는 부모가 준 얼굴로 세상과 마주할 수밖에 없지. 하지만 나이 마흔이 넘으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하네!”(링컨)
법정 스님 미공개 강연록 ‘진짜 나를 찾아라’(샘터)에 나오는 얘기다. 마흔이 넘었다는 것은 어른이 됐다는 뜻이다. 법정 스님은 저 이야기를 전하면서 “반죽이야 부모가 했으니 어릴 적엔 허물을 잡을 수 없지만, 어른이 된 뒤의 얼굴은 살아온 삶이 투영된 것이니 책임이 따른다”며 “스스로 자기 얼굴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말”이라고 했다.
법정 스님 미공개 강연을 묶은 책 '진짜 나를 찾아라'
법정 스님 미공개 강연을 묶은 책 '진짜 나를 찾아라'
흔히 얼굴을 가리켜 ‘이력서’라 한다. 이 풍진세상을 살다 보니 주름도 생기고 마음에 금도 그어진다. 그게 얼굴로 다 드러난다고 해서 이력서다. 얼굴은 ‘청구서’라고도 한다. 고물가 시대에 월급만으로 살림을 꾸려 나가려니 걱정이 많은데 얼굴에 근심이 다 비친다고 해서 청구서다. 이력서니 청구서니 하는 표현에는 우리 얼굴의, 우리 인생의 애환이 담겨 있다.
얼굴은 ‘얼의 꼴’, 즉 자기 내면세계의 형태다. 사람은 저마다 세상에 하나뿐인 얼굴을 지니고 있다. “자기 분수에 맞게, 자기 틀에 맞게 행동하라는 의미”라고 법정 스님은 설명한다. “자기를 잘 지키라는 것입니다. 남의 자리를 차지하려 든다거나 남의 거죽을 흉내 내려 한다면 이도 저도 아닌 얼굴이 됩니다. 자기답게 살아야 자기 얼굴을 갖출 수 있습니다.”
링컨 이야기로 돌아가면, 그가 사람을 미추로 판단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친구가 추천한 사람의 얼굴이 못나서가 아니라 어떤 그늘이나 어둠을 알아본 것이라고 법정 스님은 말한다. 밝은 마음이 만들어낸 얼굴은 껍데기와 상관없이 아름답다. 어느 조각가 말마따나 예술은 돌덩이에다 아름다움을 새겨 넣는 것이 아니다. 원래 돌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을 캐내는 것이다.
나한상
나한상
(When Abraham Lincoln becam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a close friend recommended a person around him. He must have thought he was the right person for the new cabinet. Lincoln, who met him, flatly refused. A friend who was upset about it later asked Lincoln why he had not chosen him. This is a conversation between the two.
"I didn't like his face." (Lincoln) "Hey, what's wrong with his face? He's born with what his parents gave him, so does it make sense not to use a competent person for that reason?" (Friend) "When you're young, you have to face the world with your parents' face. But when you're over 40, you have to take responsibility for your face!" (Lincoln)
This is the story in the unpublished lecture book "Find the Real Myself" (Samteo). When you are over 40, you are now an adult. "You can't blame yourself when you were young because your parents did it, but you have to take responsibility for your face after you become an adult because it reflects your life," Beopjeong said while delivering the story.
"Find the Real Me," a book that combines an undisclosed lecture by Buddhist monk Beopjeong
"Find the Real Me," a book that combines an undisclosed lecture by Buddhist monk Beopjeong
The face is often referred to as a 'residence book'. Living in this rubble world, wrinkles are formed and cracks are drawn in my mind. It is a resume because it is said that it is revealed by the face. The face is also called a 'bill'. In the era of high prices, I am worried about trying to make a living with only my salary, but I am saying that my face shows all the worries. The expression "history" or "claim" contains our faces and the sorrows of our lives.
A face is a form of an inner world, or a face. Each person has a unique face in the world. "It means to behave according to your means and within your frame," Venerable Beopjeong explains. "It means to protect yourself. If you try to take someone else's place or imitate someone else's big face, you will become a face that is not mine. You need to live like yourself to have your own face."
Returning to the Lincoln story, he would not have
judged a person as Michu. Monk Beopjeong says he recognized a certain shade or darkness, not because the face of the person recommended by his friend was ugly. The face created by a bright mind is beautiful regardless of the shell. As any sculptor says, art is not about carving beauty into a stone. It is about digging up the beauty of stone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