뜸 들이기!!♡♡
한국말에서 독특한 표현으로 ‘뜸 들인다’는 말이 있다. 밥도 쌀이 익었다고 바로 먹지 않고 얼마 동안의 뜸을 들여야 맛이 있다. 간장과 된장, 고추장도 모두 얼마 동안은 뜸을 들인 후 먹는다.
결국 뜸을 들인다는 것은 발효를 기다리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의 문화를 ‘발효 문화’라고도 부른다. 뜸이 들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한국문화는 ’기다리는 문화‘이다.
한국의 고전을 예로 들면, 춘향전과 심청전 모두 기다리는 이야기들이다, 사랑도 뜸을 들여야 하는 것이다. ‘사랑한다’는 말조차도 얼른 하지 않고, 뜸을 들인다.
뜸을 들인 후 고백한다.
‘기다린다’는 것은 다소 지루하기는 하지만 즐거운 일이다. 커피 한 잔 시켜놓고, 다방에서 애인을 기다려 본 사람이라면 뜸 들이는 일이 얼마나 즐거운 일인지를 잘 알 것이다.
극장 앞에서 긴 줄을 서서 기다려 본 사람은, 뜸 들여 기다림이 전혀 지루하지 않음을 안다.
기다림에는 희망이 들어 있기에 지루하지 않다. 그렇게 생각하다면 ‘뜸들임’은 희망을 낳는 일이다.
‘뜸들임’은 인생의 훈련과정이 될 수 있다. 지금은 빨리 빨리 시대가 되어 무엇이나, 속전속결로 나가지만 빠른 것이 결코 성공이라 말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빨리 가기 위해 지름길을 찾을 것이 아니라, 정도正道를 걸어야 한다. 지름길과 샛길이 빨라서 좋은 길처럼 보여도 결과를 보면 역시 정도를 걸어야 한다.
요즘 세계를 호령하는 바둑을 보면 정수를 두어야 한다. 속임수나 꼼수는 즉시 응징을 당한다. 뜸 들여 사는 것이 정도正道다.
종교도 모두 기다리는 과정을 밟는다. 명상, 묵상, 묵념, 좌선 등도 모두가 진리를 깨닫기 위해, 뜸 들이는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기다려야 깨달음이 온다.
종교개혁가 마틴 루터는 길고 긴 바티칸의 돌계단을 무릎으로 기어서 올라가는, 힘들 고도 오랜 과정을 통해 ‘의인은 믿음으로 산다‘(로마서 1:17)는 신앙의 근본 진리를 깨달아 개신교가 탄생했다.
’믿음‘이란 뜸을 들이는 것이다. 예수는 천국 복음을 전하기 전에 한적한 광야에 나가 40일 동안 명상을 한 후 그 일을 시작했다.
역시 뜸을 들인 것이다. 생각하고 명상하고 기도하는 일이 곧 ‘뜸 들이는 일’이다.
속담에 ‘급하면 돌아가라’는 말이 있다.’돌아간다‘는 것은 시간도 더 걸리고 힘도 더 들어 좋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돌아가는 것이 더 빠를 수도 있다. 직행이 좋아 보여도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구글 앱 지도 경험상)
특히 인생항로는 뜸을 들일 줄 알아야,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 (아브라함처럼 서두르면 이스마엘을 낳는다)
벌써 25년 새해 1월이다
조급한 마음보다 여유를 가지고, 뜸을 들이는 마음가짐과 여유 있는 자세로 우리도 세월에 뜸을 들이며, 가는 세월과 오는 세월들을 관망하며 뜸을 들이고 여유롭게 지새웁시다,
(Pause! ♡♡
In Korean, there is a unique expression called 'boiled rice'. Rice is also delicious after a while of moxibustion without eating it right away because the rice is cooked. Soy sauce, soy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 are all eaten after a while of moxibustion.
After all, moxibustion is to wait for fermentation. That's why Korean culture is called 'fermentation culture'. You wait until you moxibustion. Korean culture is 'waiting culture'.
Taking the Korean classics as an example, both Chunhyangjeon and Shimcheongjeon are stories that are awaited, and love must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Even the words 'I love you' are not quick to say, but pause.
I confess after moxibustion.
Waiting is a bit boring but enjoyable. If you've ordered a cup of coffee and waited for your lover in a coffee shop, you'll be well aware of how enjoyable it is to pause.
Anyone who has waited in a long line in front of the theater knows that the wait is not boring at all.
Waiting is not boring because there is hope in it. If you think so, "godding" is something that gives rise to hope.
'Holding up' can be a training course in life. Now, the times are fast and fast, but fast can never be said to be a success.
Therefore, rather than looking for a shortcut, you must walk the right way to get there quickly. Shortcuts and side streets are fast, so even if it seems like a good path, you must walk a distance when you look at the results.
When you see Go that commands the world these days, you have to have an integer. Deceptions and tricks are immediately punished. It is the right way to live a long time.
Religion also goes through the process of waiting. Meditation, meditation, meditation, silent tribute, and sit-down are all processes that everyone takes to realize the truth. Realization comes only when you wait.
Protestantism was created by the religious reformer Martin Luther, who realized the fundamental truth of faith in "A righteous man lives by faith" (Rome 1:17) through the arduous and long process of climbing the long Vatican stone steps on his knees.
Belief is a moxibustion. Jesus went out in the quiet wilderness and meditated for 40 days before preaching the gospel of heaven, and then began his work.
After all, you've been moxibustion. Thinking, meditating, and praying are the things you're excited about.
As the saying goes, "If you're in a hurry, go back." "Going back" doesn't look good because it takes more time and energy. However, going back might be faster.
Even if the direct route looks good, it can take more time. (Experience in Google Maps)
In particular, on the path of life, you have to take a long time to succeed! (If you hurry like Abraham, you give birth to Ishmael)
It's already January, the 25th year of the new year
Rather than being impatient, let's take it easy with a mind and a relaxed attitude, and let's take it easy while waiting for the years to go and the years to come,)
2025년 1월 28일 화요일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221. 덕목과 생의 목표
덕목(德目)과 생의 목표(目標)♡ 좋은 사람은 외롭지 않고, 어진 사람은 항상 즐겁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남을 도우면 자기 자신(自身)도 이롭게 되어 변함없이 행복(幸福)을 누릴 수 있습니다. 토끼를 잡을 땐, 귀를 잡고, 닭을 잡을 땐, 날개...
-
아침에 하면 보약보다 좋은 것. 기지개 켜기, 가글 하기, 물 한 잔 마시기, 아침 식사 하기가 그 것이다. 기지개를 켠다. 팔을 들어 척추를 펴주는 동시에 다리까지 펴준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기초대사량을 높인다. 수면 중 눌리고 긴장되어있...
-
한약'보다 좋은 '무료 건강 비법' 11법 한약만큼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들이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1. 머리를 두들겨라! 손가락 끝으로 약간 아플 정도로 머리 이곳 저곳을 두들기는 겁니다. 두피가 자극되어 ...
-
과일은 언제 먹는 것이 몸에 좋을까? 과일은 빈 속에 먹어야 좋다. 과일을 빈 속에 먹으면 몸 속의 독소를 제거한다. 체중을 줄이고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만약 식 후에 과일을 먹으면 어떨까? 과일이 위에 들어가서 먼저 먹은 음식물과 섞이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