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는 사람을 움직이는 것은 육체라고 보는 것이 대부분의 생각이었다.
그러나 인간의 생명과 죽음, 질병과 건강,
행복과 불행,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것은
육체가 아니라 정신(마음)임이 더욱 분명해졌다.
인간은 육체와 정신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사실이다. 지금까지는 인간의 주인은 육체를 위해서 먹었고,
옷을 입어도 육체를 위해서 입었다.
모든 것이
육체를 중심으로 보호막을 쳤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생각을 달리해야 한다.
건강을 위해 보약을 먹을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생사와 질병을 지배하는 정신(마음)의 속성을 알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인간은 ‘마음’을 간직한 ‘육체’가 아니라, 육체를 도구로 활동하고 있는 ‘마음’이
본그 자체이다.
이것은 기본적인 진리다.
하버드 대학의
월터 케논 박사는 이미 35년 전에 우리의 정서
(마음상태)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중요시 했으며,
그 후 많은 대학과 병원에서 신체적 질병치료의 정서적인 면을 중요시하여 활용하게 되었다.
마음이 생각하면
육체가 생각하고,
육체의 생각은 바로 마음의 생각을
외적으로 나타낸다.
외적으로 나타난
그것이 좋은 것이면 건강한 것이고,
나쁜 것이면
질병이다.
질병이란 왜곡된 생각의 표현이다.
질병은 마음의
그림자에 불과하다. 건강한 마음은
건강한 육체로
나타나고,
부정적인 마음은
불건전한 육체로
나타난다.
흔히들 ‘생각’하면 머리로만 하는 것으로 아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전신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한 번 생각하는데 우리의 수백억 개의 미세한 세포까지 동원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모든 세포는 마음의미세한 스파크다.
세포 하나하나가
건강하지 않으면
건강한 생각을 할 수 없다.
모든 마음의 병은 욕심에서 나온다. 욕심은 죄악을 낳고 죄악은 사망을 낳는다.
설사 미신이라 하더라도 정자나무 아래서 간절히 기도하면 병이 낫는다는 것이다.
병을 낫기 위해서는 마음을 깨끗하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마음을 깨끗하게,
건강하게 하는 것만이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최고의 길이다.
그러니
어떤 환자이건
자신의 병을
낫기 위해
먼저 자신의 생각을 건전하게 바꾸어야
한다.
근심을 기쁨으로, 패배감을 자신감으로, 열등의식을
승리감으로, 후퇴에서 전진으로, 증오에서 사랑으로 자신의 마음을 바꾸어야 한다.
이렇게 건전한 생각을 계속하면, 몸의 세포가 바꿔지고 면역성이 강화되어 질병까지도 물러가는 것이니 마음이 바르고 고요해야 건강한 신체활동이 유지되는 것이라 합니다.
(Until now, most people thought that it was the body that moved people.
But human life and death, disease and health,
happiness and unhappiness,
What determines success and failure is
It became clearer that it was the mind, not the body.
It is true that human beings are made up of bodies and minds. Until now, human masters have eaten for their bodies,
I wore it for my body even though I wore it.
Everything's.
It was a protective film centered on the body.
But now we have to think differently.
It is not to take medicine for health, but to try to know the nature of the mind (mind) that governs human life and death and disease.
Human beings are not "physical bodies" that hold "hearts", but "hearts" that operate as tools
It's the real thing.
This is a fundamental truth.
of Harvard University
Dr. Walter Kenon said that 35 years ago, our sentiments
The effect of (the state of mind) on the body was greatly emphasized,
Since then, many universities and hospitals have emphasized and utilized the emotional aspect of physical disease treatment.
when I think about it
The body thinks,
The thoughts of the body are the thoughts of the mind
externally represent.
externally-appeared
If it's good, it's healthy,
if it's a bad thing
It's a disease.
Disease is an expression of distorted thought.
Illness is the heart's
It's just a shadow. A healthy heart
in good health
It's showing up,
The negative mind
in an unhealthy body
It appears.
I know that when you think about it, you only do it with your head,
That's definitely not the case.
You have to know that you think with your whole body.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ens of billions of microscopic cells are mobilized for once.
Every cell is a microscopic spark in the mind.
Every single cell
If you're not healthy
I can't think healthy.
All mental illnesses come from greed. Greed leads to sin and sin leads to death.
Even if it is a superstition, if you pray earnestly under the sperm tree, you will get better.
To heal the disease, clean your heart
I have to do it.
Clean your heart,
It's the only way to treat and prevent diseases
It's the best path.
So
No matter what the patient is
one's own disease
in order to get better
First, you have to change your mind in a healthy way
do.
Let's make anxiety joy, defeat, confidence, and inferiority
You must change your mind from a sense of triumph, from retreat to forward, from hatred to love.
If you continue to think soundly like this, your body's cells will change, your immunity will strengthen, and you will even retreat from the disease, so healthy physical activity will be maintained only when your mind is good and calm.)
2024년 11월 4일 월요일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221. 덕목과 생의 목표
덕목(德目)과 생의 목표(目標)♡ 좋은 사람은 외롭지 않고, 어진 사람은 항상 즐겁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남을 도우면 자기 자신(自身)도 이롭게 되어 변함없이 행복(幸福)을 누릴 수 있습니다. 토끼를 잡을 땐, 귀를 잡고, 닭을 잡을 땐, 날개...
-
아침에 하면 보약보다 좋은 것. 기지개 켜기, 가글 하기, 물 한 잔 마시기, 아침 식사 하기가 그 것이다. 기지개를 켠다. 팔을 들어 척추를 펴주는 동시에 다리까지 펴준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기초대사량을 높인다. 수면 중 눌리고 긴장되어있...
-
한약'보다 좋은 '무료 건강 비법' 11법 한약만큼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들이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1. 머리를 두들겨라! 손가락 끝으로 약간 아플 정도로 머리 이곳 저곳을 두들기는 겁니다. 두피가 자극되어 ...
-
과일은 언제 먹는 것이 몸에 좋을까? 과일은 빈 속에 먹어야 좋다. 과일을 빈 속에 먹으면 몸 속의 독소를 제거한다. 체중을 줄이고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만약 식 후에 과일을 먹으면 어떨까? 과일이 위에 들어가서 먼저 먹은 음식물과 섞이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