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24일 금요일

36. 줄탁 동시

달걀이 부화하려 할 때  알 속에서 나는 소리를 줄이라 한다.  어미 닭이 그 소리를 듣고 바로 껍질을 쪼아 깨뜨리는 것을 탁이라 한다. 병아리는 안 쪽에서, 어미닭은 바깥  쪽에서 동시에 알을 쪼는 것이 줄탁동시이다. 불가에서 수행승의 역량을 알아차리고 바로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스승의 예리한 기질을 비유한다. 서로의 인연이 알맞은 때에 맞 닿는 것을 뜻한다. 또는 그러한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는 것을 의미한다.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려면 알 껍질의 양 쪽에서 껍질을 쪼는 때가 맞아야한다. 제 때에 기회를 발견하고 제 때에 알을 쪼아서 깨뜨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줄탁동시는 사람 사이의 인연이 서로 잘 맞는 것을 비유한다. 알맞은 때에 찾아온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는 것을 뜻한다. 줄탁의 시기가 맞아 떨어지려면 알을 깨고 나오려는 병아리의 의지가 있 어야 한다. 깨달음을 위한 불도들의 수행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줄탁동시는 올바른 자녀 교육에도 적용되지 않을까? 또는 좋은 인간ㆍ관계 형성에도 적용되는 키 워드가 아닐까요 ?  들어주셔서 고맙습니다.
(When an egg is about to hatch, the sound in the egg is called down.  The mother chicken pecking and breaking the shell right after hearing the sound is called tak. Chickens peck eggs from the inside and mother chickens from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It compares the sharp disposition of a teacher who notices the competence of a monk in Buddhism and immediately leads to enlightenment. It means that each other's relationship meets the right time. Or it means catching such an opportunity without missing it. In order for a chick to come out of an egg, it must be the right time to pick the shell from both sides of the egg shell. It is very important to discover opportunities in time and to peck and break eggs in time. Jultakdongsi likens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to be compatible. It means catching a good opportunity that came at the right time without missing it. In order for the timing of the jultak to be right, the chick must have the will to break out of the egg. The practice of Buddhists for enlightenment must precede. of course Wouldn't Jultakdongsi also apply to the proper education of children? Or

maybe it's a keyword that applies to building good relationships? Thanks for listening.)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21. 덕목과 생의 목표

덕목(德目)과 생의 목표(目標)♡ 좋은 사람은 외롭지 않고, 어진 사람은 항상 즐겁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남을 도우면 자기 자신(自身)도 이롭게 되어 변함없이 행복(幸福)을 누릴 수 있습니다. 토끼를 잡을 땐, 귀를 잡고, 닭을 잡을 땐, 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