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8일 월요일

483. 관계와 소통의 의미

봄이 되면 새 학기, 부서 이동, 전근 등으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 새로운 인간관계를 만드는 일이 많아지게 마련이다. 누구에게는 너무나 쉬운 일이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대단히 스트레스가 되는 인간관계와 소통, 어떻게 하면 잘 풀어나갈 수 있을까?



소통의 핵심은 ‘기술’이 아닌 ‘진정성’

필자는 기업 강연을 업으로 하다 보니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사람들을 만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강연 내내 팔짱을 끼고 째려본다든지, ‘얼마나 재미있는 얘기를 하나 보자’하는 식으로 무뚝뚝하니 굳은 표정으로 웃지 않는 사람도 있다.

지금은 요령이 생겨서 크게 동요하지는 않지만 처음 강연 일을 시작했을 때는 이런 사람들을 만나면 굉장히 힘들었다. 무시하고 신경 쓰지 않으면 될 것인데, 어떻게든 이런 사람들의 마음과 태도를 바꾸고 싶은 욕심과 괜한 승부근성으로 날카롭게 심리전을 벌이곤 했다. 그러다 조금이라도 그 청중이 마음을 여는 것이 보이면 묘한 승리의 쾌감을 느끼며 자아도취에 빠지곤 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나의 이러한 생각들이 오만과 부덕의 소치임을 깨달았다. 상대를 압도하고 지배하겠다는 독선에 빠져 있었던 것이다. 소통을 이야기하고, 삶의 신명과 호흡을 부르짖던 내가 이율배반적인 행동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과오를 깨닫고 반성을 시작했다. 내 안의 욕심을 내려놓고 비우기 위해 노력했다. 시간 내에 전할 내용과 메시지에 집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진정성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진실한 마음으로 가식과 위선을 버리고 솔직하게 다가가면 청중도 언젠가는 마음을 열고 다가온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당장 그 자리에서는 아니더라도 시간이 흐른 후 강사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뒤늦은 교감을 할 때가 오는 것이다.

인간관계를 위한 소통도 마찬가지다. 모든 사람들이 내게 긍정적이거나 호의적일 수는 없다. 내가 한 말과 행동에 대해 어떤 이는 감동을 받았을 수도 있지만, 어떤 이는 짜증을 낼 수도 있다. 어차피 모두를 만족시킬 수는 없는 법이다. 중요한 핵심은 ‘소통’은 기술과 기교가 아니라 진실과 진정성이라는 것이다.



사소한 것의 중요함

공자의 말씀 중에 “군자는 말을 잘하는 사람의 말에만 귀를 기울이지 않고 말이 서툰 사람의 말에도 귀담아듣는다.”라는 명언이 있다. 진정성 있는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우리는 일상의 대부분을 타인과 대화하고 의견을 교환하며 지낸다. SNS로 대표되는 21세기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도구들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게 하였고,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더 많은 사람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 안에 얼마나 진정성 있는 소통이 가능했을까? 그저 자신을 자랑하고, 하는 일을 홍보하는 수단으로만 ‘소통’을 이용하지는 않았던가?

‘수사학’의 저자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에토스(‘성격’과 ‘관습’을 의미하는 옛 그리스어로 사람의 특징적인 성질이나 태도를 말함), 동양에서의 신언서판(身言書判;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선출하던 네 가지 표준으로 몸, 말씨, 문필, 판단력을 이름), 다시 말해 사람을 평가하는 데 있어 생각이나 말씨, 판단력 등이 중요한 덕목이었으며 소통의 기본이 되는 신뢰는 여기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신뢰는 결코 큰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생각이 말로 표현되어 나오고 그 말 한 마디는 관계에서 신뢰를 형성하게 한다.

신뢰를 깨는 대부분의 원인 제공자는 다른 이가 아닌 바로 자신이다. 당장의 욕심과 욕망에 사로잡혀 너무도 쉽게, 사소한 부분에서 상대방에게 불신의 빌미를 제공한다. ‘사소한 것에 목숨 걸어라’ 혹은 ‘디테일의 힘’ 같은 책들이 한때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만큼 사소한 것들에 대한 중요성을 많이 간과하고 산다는 방증이며 이러한 태도와 습관들이 결정적인 인간관계에 큰 걸림돌이 된다는 의미이다. 작은 것들, 소소한 것들에 집중하고 완벽히 지켜내려는 의식과 실천이 있어야 한다. 특히 기업이나 조직에서 지위가 높을수록 신뢰의 중요성이 절대적임을 깨달아야 한다. 신뢰는 본질적인 소통을 위한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인간관계에서 진정한 소통은 단순한 기술이나 기교가 아니라 소소한 태도와 자세에서 비롯된다. 남이 아닌 자신을 향한 끊임없는 수양이며 타인에 대한 섬김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만큼 소통은 어렵고 길고 긴 인내를 요구하는 과정이다. 진정한 소통은 단순한 이론의 습득과 현장 실습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삶 전체에 대한 획기적 변화를 의미하며 목적이 있는 거듭남을 통해 실천된다는 의미이다.

인간관계와 소통의 방법에 있어 완벽한 정답과 롤 모델은 없다. 치열한 몸부림과 노력이 있어야 진짜 소통의 전문가 혹은 소통리더가 될 수 있다. 삶이 곧 소통이다.



글 정경호(엔학고레 소통아카데미 대표)
(In spring, you will meet new people and make new human relationships through new semesters, department transfers, etc. How can you solv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that are too easy for someone but very stressful for someone?



The key to communication is not "technology," but "authenticity."

As I work on corporate lectures, I often meet people who are difficult to understand in common sense. Some people don't smile with a firm face because they are blunt, such as glancing with their arms crossed throughout the lecture or saying, "Let's see how interesting things are."

Now that I have a knack for it, I don't get very agitated, but when I first started speaking, it was very difficult to meet these people. If you ignore and don't care, you will somehow have a sharp psychological battle with the desire to change the minds and attitudes of these people and with useless competitive grit. Then, when I saw that audience opening up even a little, I would feel a strange pleasure of victory and fall into narcissism.

But over time, I realized that these ideas were the incarnation of arrogance and virtue. He was in a self-righteous position to dominate and overpower his opponent. I was acting anti-traditional when I talked about communication and called for the deity and breath of life.

Realizing the mistake, I began to reflect. I put down my greed and tried to empty it.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content and message to be conveyed in time, but I realized that sincere communication is much more important. If you abandon pretensions and hypocrisy with a sincere heart and approach honestly, you will one day open your heart and approach it. There will come a time when, if not in the immediate place, you will have a belated communication by recalling the instructor's story after a while.

The same goes for communication. Not everyone can be positive or favorable to me. Some may have been touched by what I said or did, but others may be annoyed. You can't satisfy everyone anyway. The key is that 'communication' is not about skill and skill, but about truth and authenticity.



the importance of trivial things

There is a saying in Confucius that says, "A wise man does not listen only to those who are good at speaking, but also to those who are poor at speaking." These word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incere communication. We spend most of our daily lives talking and exchanging opinions with others. The digital communication tools of the 21st century represented by SNS have pushe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beyond, and we can communicate with more people anytime, anywhere in real time. But how authentic communication was possible in it? Didn't you just use 'communication' as a means of showing off yourself and promoting what you're doing?

According to Aristotle, the author of "Rhetoric", Ettos (an old Greek word for "character" and "custom"), the 身言 of 判 in the East (named for body, speech, writing, and judgment) and in other words, thought, speech, and judgment were important virtues in evaluating a person, and trust, which is the basis of communication, originated from this. In other words, trust is never achieved in a large part. One's thoughts are expressed in words and one word builds trust in a relationship.

Most cause-breakers break trust are themselves, not others. It provides an excuse for distrust to the other person in the smallest areas too easily, caught up in the immediate greed and desire. Books such as "Risk Your Life on the Small" or "The Power of Details" were once bestsellers. This proves that people overlook the importance of trivial things and live, and it means that these attitudes and habits are a major obstacle to decisive human relationships. There must be a consciousness and practice to focus on the small and the small things and keep them perfectly. In particular, you must realize that the higher your position in a company or organization, the more important your trust is. This is because trust is a

shortcut for essential communication.

Real communication in human relations is not just a skill or technique, but a small attitude and attitude. It can be said that it is constant discipline for oneself, not for others, and service to others. As such, communication is difficult and a process that requires long and long patience. True communication does not come from simple theory acquisition and field practice, but means that it is practiced through a purposeful rebirth.

There is no perfect answer and role model for human relationships and ways of communicating. It takes fierce struggle and effort to become a real communication expert or communication leader. Life is communication.



Jeong Kyeong-ho (CEO of Enhak Gore Communication Academy))

댓글 없음:

댓글 쓰기

489. 귀 건강법

건강한 삶을 위한 귀 건강 습관의 중요성 [174] 건강의 본질: 건강은 거창한 치료가 아니라 작은 습관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174] 가장 중요한 두 가지 방법: 오늘 언급된 다섯 가지 방법 중 첫 번째 귀 마사지와 두 번째 소리 자극 이 두...